일본 시민단체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전국 행동’(전국 행동)이 ‘정의기억연대’(정의연) 논란과 관련해서 발표한 성명서. 전국행동 누리집 갈무리
일본군 ‘위안부’ 피해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온 일본 시민단체가 ‘정의기억연대’(정의연) 논란과 관련해 “일본 정부와 사회에야말로 책임을 묻는다”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전국행동’(전국행동)은 13일 성명을 내어, “피해자를 몰아붙인 사람은 누구인가”라며, 이용수 할머니의 기자회견을 언급했다. 이어 “30년간 피해 인정과 진심어린 사죄, 그에 기초한 배상, 꾸준한 진상규명과 교육 등 재발방지책을 요구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그 목소리에 답하고 있지 않은 일본 정부야말로 피해자를 이 지경까지 몰고 간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윤미향 당시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대표가 2015년 12월28일 한-일 위안부 합의 내용을 사전에 알고서도 할머니들에게 알려주지 않았다는 의혹을 제기한 쪽에 대한 비판도 담았다. 전국행동은 “일부 내용만 윤 전 대표에게 알린 것이 (한국) 외교부가 말하는 사전 협의의 전부임은 당시 상황을 소상하게 공유했던 우리도 분명히 기억하는 사실”이라는 것이다. 재일동포인 양징자씨가 대표를 맡은 이 단체는 정대협 시절부터 정의연과 연대하면서, 일본에서 위안부 피해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을 해왔다.
전국행동은 “성폭력 근절과 평화 추구의 길을 함께 걸어온 정의연의 운동은 정의연만의 것은 아니다”라며 정의연의 운동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는 뜻을 밝혔다. 끝으로 “일본 정부의 책임 이행이라는 피해자들의 간절한 염원을 아직 실현하지 못한 일본 시민으로서 이용수 할머니를 비롯한 각국의 피해자, 사망한 피해자들에게 진심으로 사죄드린다. 앞으로도 우리는 이용수 할머니의 동지로서 함께 있음을 전하고 싶다”고 밝혔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