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돗토리현에 있는 ‘숲유치원 마루탄보’의 수업 모습. 마루탄보 사진 제공.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가뜩이나 심각한 일본의 저출산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코로나19로 인한 불안과 경제적 문제로 아이를 낳으려는 사람이 줄면서 ‘출생아 80만명’ 붕괴가 예상보다 12년이나 빨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요미우리신문>은 후생노동성 자료를 인용해, 올 1~10월 출생아 수는 73만3907명으로 1년 전보다 약 1만7천명이 줄었다고 27일 보도했다. 이런 흐름이라면 올해 출생아 수는 지난해(86만5239명)보다 적어 사상 최저치를 보일 전망이다. 혼인 건수도 올 1~10월 42만4천건으로 지난해보다 약 6만5천건 감소했다.
일본의 대표적 싱크탱크인 일본종합연구소는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혼인과 임신이 줄면서 내년 일본 출생아 수가 80만명을 밑돌 것이라는 추계를 발표했다. 일본 정부는 장래 인구를 추계하면서 출생아 수가 80만명 이하로 떨어지는 시기를 2033년으로 내다봤는데, 연구소 분석대로라면 12년이나 빨라지는 것이다. 후지나미 다쿠미 일본종합연구소 수석주임연구원은 이 신문 인터뷰에서 “출생아 수가 줄어든 것은 젊은 세대가 경제적으로 불안하기 때문”이라며 “청년층은 가뜩이나 비정규직 비율이 높고 고용이 불안한데, 코로나로 더 심각해졌다”고 말했다. 호시노 타쿠야 다이이치생명 경제연구소 이코노미스트는 “재택근무, 온라인 수업 등으로 교류가 줄어들면서 혼인 건수가 더 감소할 수 있다”며 “코로나가 수습된다고 해도 출생아 수가 원래대로 돌아올지 불투명하다”고 지적했다.
저출산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연금이나 의료 등 사회보장제도의 설계도 재검토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재 15~64살 2명이 65살 이상 노인 1명을 부양하고 있는데, 저출산이 가속화되면서 더 적은 인원으로 사회를 뒷받침해야 하기 때문이다.
후지나미 연구원은 “저출산으로 사회보장 유지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며 “인구감소가 완만하게 진행되면 대응할 수 있는 문제도 출생아 수가 급격히 줄어들 경우 대책을 세울 시간이 없어진다”고 우려했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