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브라마니암 자이샹카르 인도 외무장관(왼쪽부터),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 머리스 페인 오스트레일리아 외무장관,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지난해 10월 도쿄에서 열린 4자 안보회의(쿼드) 자리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도쿄/AP 연합뉴스
미국과 일본, 인도, 오스트레일리아(호주)의 4자 협의체인 ‘쿼드’가 12일 첫 정상회의를 열 수 있게 된 데는 소극적이던 인도의 입장 변화가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가 적극 나설 수 있도록 미·일·호주 등 3개 국가가 다방면에서 공을 들였다는 분석이 나온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인도는 전통적으로 비동맹의 입장을 취하면서 중국을 포함한 각 국가와 등거리 외교를 중시해왔다”며 “하지만 이번 쿼드 정상회의에선 인도가 전면에 나서게 됐다”고 11일 보도했다.
4개 국가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개발도상국(개도국)에 코로나19 백신을 공급하는 방안을 정상회의에서 합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일본·호주가 아시아나 아프리카 등 개도국에 낮은 이자로 대출을 해주고 그 돈으로 각국이 인도산 백신을 구입하도록 하는 방안이다. 개도국에 중국산 백신을 무상으로 지원하며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중국을 견제하는 동시에, 인도에겐 경제적 혜택이 돌아간다. 이 신문은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 뒤 미국이 쿼드 정상회의를 추진했지만 인도가 난색을 표하면서 일정이 결정되지 못했다”며 “인도산 백신 공급은 인도가 ‘쿼드’ 쪽으로 오게 했다”고 보도했다. 인도 외무부는 지난 9일(현지시각) 4개국 중 가장 먼저 “12일 정상회의를 열고 코로나 대책을 논의한다”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또 3개 국가가 인도를 배려하기 위해 쿼드 정상회의 의제로 안보를 전면에 내세우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 가토 가쓰노부 일본 관방장관은 지난 10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정상회의 개최를 공식 발표하며 ‘중국’, ‘안보’라는 표현을 쓰지 않았다. 이 신문은 “쿼드가 대중 포위망으로 비춰지는 것을 피하려는 인도의 입장을 고려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중국은 쿼드를 ‘인도·태평양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라며 반발하고 있다.
쿼드는 2019년 9월 미국 뉴욕에서 처음 열렸고, 지난해 10월 일본 도쿄 회의에서 정례화하기로 합의했다. 지금까지 4개국 외교장관들이 참여한 속에서 열렸으며, 정상회의는 이번이 처음이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