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11~13일 영국에서 개최 예정인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중국의 ‘일대일로’(육‧해상 신실크로드)에 공동 대응하는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굴기의 상징과도 같은 ‘일대일로’에 대해 주요 7개국 차원에서 대응책을 모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마이니치신문>은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중국이 ‘일대일로’ 참여를 앞세워 개발도상국과 유럽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어 주요 7개국 내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며 “규칙에 근거한 지원방안을 만들어, 중국에 촉구할 것”이라고 6일 보도했다.
올해 주요 7개국 의장국인 영국이 이런 의견을 제안했고 “일본, 독일, 프랑스 등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또 “조 바이든 행정부도 ‘일대일로’에 맞서는 민주주의 국가들의 경제권 구상을 모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3월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와 전화 회담에서 중국의 일대일로에 대항하는 개발도상국 지원 계획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한 바 있다.
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선 중국의 일대일로를 견제할 목적으로 개발도상국 지원의 기본 방침을 공동성명에 포함하는 방안이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신문은 “개발도상국 인프라 지원에 있어 투명한 처리와 함께 환경을 배려하는 조건으로 주요 7개국 국가들이 협력해 융자를 해주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고 밝혔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2013년 처음 제창한 일대일로는 중국에서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을 육상‧해상으로 연결해 주변 국가들과 경제 등 다양한 협력을 강화하는 초대형 사업이다. 중국은 개발도상국에 도로, 철도, 항만 등 인프라 정비를 지원해 개발을 촉진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 등 주요 7개국 내에서는 중국이 일대일로 사업으로 과잉 채무에 빠진 개발도상국을 상대로 영향력을 강화해 군사적 거점을 확보하려는 것이 아닌지 의구심을 갖는 시각도 있다.
한편, 주요 7개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가능성이 점쳐졌던 한-일 정상 대화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교도통신>은 주요 7개국 정상회의를 앞두고 일본 정부 차원에선 사전에 한일 정상회담을 조율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굳혔다고 5일 보도했다. 일본 외무성 간부는 통신에 “(한-일 정상 간) 단시간 접촉을 상정한 사전 조정도 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은 주요 7개국 회원국은 아니지만 주최국인 영국에서 공식 참석 초청을 받았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