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오전 서울역에 설치된 중구임시선별검사소에서 한 시민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주부터 급증세를 보이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800명대로 치솟았다. 전문가들은 자칫 1000명대까지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한다. 본격 휴가철을 앞두고 있는데다 전파력이 강한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퍼지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섣불리 ‘방역 완화’ 신호를 내비친 것이 잘못은 아니었는지 되돌아볼 일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가 2일 발표한 코로나19 발생 현황을 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826명 늘었다. 신규 확진자 수가 800명대를 기록한 것은 올해 1월7일 이후 176일 만이다. 특히 수도권의 확산세가 두드러진다. 최근 한주간 수도권의 일평균 확진자는 509명으로,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기준으로도 3단계(500명 이상)에 해당한다. 연령별로는 20~30대가 41%를 차지했다. 각종 모임 등 일상활동이 활발한 젊은층을 연결고리로 확산세가 더욱 커질 수 있어 걱정스러운 상황이다.
이번 감염 확산 사태는 정부가 자초한 측면이 크다. 경기회복에 따라 소비가 꿈틀대고 백신 접종으로 그동안 억눌려 있던 사회 활동 욕구가 분출하는 상황에서, 정부가 방역 긴장감을 이완시킬 수 있는 메시지를 잇따라 내놓았다는 점에서 그렇다. 방역 조처를 완화한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 백신 접종자에 대한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면제가 대표적인 예다. 정부가 한달여 전부터 이런 방침을 거듭 밝혀왔는데, 국민들이 ‘이제는 이전의 일상으로 돌아가도 괜찮다’는 잘못된 신호로 받아들였을 수 있다.
정부는 고령자에 대한 백신 1차 접종이 거의 마무리됐기 때문에 사회적 위험도가 낮아졌다고 설명하지만, 안이한 판단이라는 지적이 많다. 우리나라의 1차 접종 비율은 30%로 다른 나라와 견줘 여전히 낮고, 2차 접종까지 끝낸 접종 완료자 비율은 10%밖에 안 된다. 사망률을 낮추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만, 확산을 막기에는 아직 역부족이다. 만성질환 유병률이 비교적 높은 50대의 접종은 이달 말에야 시작된다. 1차 접종만으로는 예방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델타 변이가 유행하고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심상찮은 확산세에 정부가 새로운 거리두기 시행을 한주 뒤로 미뤘지만 그걸로 충분할지 의문이다. 방역 완화와 휴가철이 맞물려 자칫 전국적 유행을 불러오지 않을까 우려스럽다. 확산세가 잦아들 때까지 방역 완화를 유예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당부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그것이 더 큰 피해를 막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