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인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실력과 정책에 대한 논쟁에 집중하고 다른 후보들에 대한 네거티브적 언급을 하지 않겠다"고 밝히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이재명 경기지사의 ‘대선 경선 중 지사직 유지’를 두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애초 이 지사가 국민 88%로 한정한 추가경정예산안과 달리 모든 경기도민에게 재난지원금을 지급하겠다고 밝히자,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정세균 전 국무총리 등 일부 경쟁 후보들이 현직 지사 프리미엄을 활용해 불공정 경선을 벌이고 있다고 공세를 편 것이 기화가 됐다. 이어 경선 관리 책임을 진 이상민 당 선거관리위원장도 5일 이 지사를 향해 “마음이 콩밭에 가 있다”며 사퇴를 주장했다. 그러나 이 지사는 6일 “경선 완수와 도지사직 유지 둘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요구하면 도지사직을 사수하겠다”며 사퇴 요구를 일축했다. 추미애·박용진·김두관 후보 등도 사퇴 요구는 부당하다고 반박했다.
당 일부에서 이 지사가 이른바 ‘지사 찬스’를 쓰며 불공정한 경선을 벌이고 있다고 비판하는 것 자체는 뭐라 할 일이 아니다. 이 지사 스스로 불공정 논란이 일지 않도록 처신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불공정 행태를 비판하고 후보의 자제와 당의 조처를 요구하는 수준을 넘어 지사직을 그만두라고 요구하는 것은 과도하고 무리하다.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현직 지사가 대선에 출마할 경우 대통령선거일 90일 전까지 사퇴해야 한다. 오는 12월9일이다. 민주당 당헌·당규도 현직 지사의 경선 사퇴 시한을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다. 미국은 주지사가 중도 사퇴 없이 대선 경선에 참여한다. 결국 법정 시한 내에 언제 지사직을 사퇴할 것인지는 도정 공백 최소화를 전제로 각자 가치관과 정치적 판단을 따르면 될 문제다.
국민의힘 소속 원희룡 전 제주지사의 경우 지난 1일 대선 경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지사직을 사퇴했다. 그는 “임기를 다하지 못해 도민들에게 진심으로 죄송한 마음”이라고 사과했다. 사과를 하면서도 중도 사퇴한 것은 모든 것을 걸고 경선에 임한다는 자세를 보여주기 위해서일 것이다. 반면, 이 지사는 “도지사직은 1380만 도민께서 맡기신 책임이기 때문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최종 판단은 국민의 몫이다. 특히 민주당은 2012년 대선 경선 당시 김두관 후보가 경남지사를 중도 사퇴했다가 어렵게 확보한 영남권 교두보를 대책 없이 내줬다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 민주당 후보들은 소모적인 ‘지사 사퇴’ 논란을 이쯤에서 끝내고, 국민의 삶을 보듬고 미래를 열어갈 비전과 정책을 놓고 더 치열하게 경쟁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