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 주자인 이낙연 전 대표가 12일 서울 여의도 대산빌딩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경선 불복’ 논란에 대해 “제 사전에는 불복이란 없고, 한번도 생각해 본 적 없다”고 강조했다. 공동취재사진
여야가 각각 대선 후보 경선과 관련해 금도를 건드리는 내부 공방을 벌여 국민들을 실망시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낙연 전 대표 캠프발 ‘경선 불복’ 논란으로 국민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이 전 대표 캠프 선대위원장인 설훈 의원이 지난 7일 “이재명 경기지사가 본선 후보가 된다면 (원팀이) 장담이 안 된다”고 말해, ‘경선 불복 가능성을 내비친 것이냐’는 당 안팎의 비판을 자초했다. 설 의원은 11일에도 이 지사 가족 문제를 거론하며 거듭 “지지를 못 하겠다는 분들을 어떻게 설득할 수 있을지 자신이 없다는 얘기”라고 주장했다. 설 의원이 ‘경선 불복’이라고 분명히 말한 것은 아니지만, 그렇게도 들릴 수 있는 발언을 해 갈등을 일으킨 것은 명백한 잘못이다. 이 지사든 이 전 대표든 누가 대선 주자로 최종 결정더라도 서로 힘을 합쳐야 한다는 걸 잊어선 안 된다. 이 전 대표가 12일 “제 사전에 ‘불복’은 없다”고 선을 그은 만큼, 다시는 이런 소모적 공방을 되풀이하지 말아야 한다.
국민의힘은 윤석열 전 검찰총장 캠프와 이준석 대표 간 ‘탄핵’ 공방이 거칠어지고 있다. 윤 전 총장 캠프 신지호 총괄부실장이 11일 당 경선준비위원회의 정책토론회 개최 결정과 관련해 “당대표의 결정이라 할지라도, 아무리 대한민국의 대통령이라 할지라도, 헌법과 법률에 근거하지 않은 것은 탄핵도 되고 그런 거 아닌가”라고 말해 논란에 불을 붙였다. 그러자 이 대표는 12일 “캠프 내 어떤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가 있을지 보겠다”며 사실상 신 부실장에 대한 문책을 요구했다. 윤 전 총장이 이 대표에게 전화를 걸어 “신 실장을 많이 혼냈다”며 이해를 구했다고 했으나, 이 대표는 “(윤 전 총장이) 사과나 유감 표명을 하진 않았다. 나는 토론회 참석 여부에 대한 입장을 빨리 밝혀달라고 말했다”고 했다. 당내 토론회가 뭐라고 유력 주자와 당대표가 이토록 격렬하게 맞서는 것인지 이해할 수 없다.
여야 모두 작은 이익을 다투기에 앞서 코로나 위기에 지친 국민들의 마음부터 살펴야 한다. 담대하고도 실현 가능한 희망의 비전을 국민들은 목말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