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선 학교의 2학기 개학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난 8월17일 서울의 한 고등학교 학생들이 등교하며 손 소독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교육부가 이달 3일까지로 설정한 ‘집중방역 기간’이 끝남에 따라, 6일부터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등교 수업이 더 늘어난다.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까지는 모든 학교에서 전면 등교가 가능해지고, 4단계 지역에서도 고등학교는 전면 등교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거리두기 1~2단계까지만 전면 등교를 허용하고 4단계에선 전면 원격수업으로 전환했던 1학기와 견줘 등교 일수가 크게 늘어난다. 코로나19에 따른 ‘교육 결손’ 문제를 해결하려면 불가피한 조처다. 교육 현장이 안전하게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교육당국은 물론 교사, 학부모, 학생 등 모든 교육 주체들이 힘을 모아야 한다.
4차 유행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등교를 확대하는 일이 교육당국으로서는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을 것이다. 많은 학생들이 좁은 공간에서 오랜 시간 머무는 학교 특성상 집단감염의 불안감을 떨치기는 어렵다. 하지만 많은 전문가들이 동의하듯, 방역수칙을 잘 지키는 학교는 상대적으로 감염병에 안전한 공간이라 할 수 있다. 교육부 자료를 보면, 이전보다 등교 수업을 확대한 올해 1학기 학생 확진자의 감염 경로에서 ‘학교 내 감염’이 차지하는 비율은 15.9%로, 가정(48.7%), 지역사회(22.6%)보다 훨씬 낮았다. 10만명당 확진자 수도 지역사회보다 적었다.
학교가 문을 닫음으로써 초래되는 학습·정서적 결손은 매우 크다. 전문가들은 특히 부모의 안정적인 돌봄을 받지 못하는 저소득층에게 그 피해가 집중되고 있다고 우려한다. 아동권리보장원의 ‘코로나19 대응 아동실태조사’를 보면, 지난해 0~18살 아동의 우울감 지수는 2.75로 코로나19 이전인 2018년(2.38)보다 높았다. 특히 빈곤 가구 아동의 우울감 지수가 나머지 아동(2.59)의 1.6배나 됐다. 주관적 학업성취도도 크게 떨어졌는데, 빈곤 아동의 학업성취도는 나머지 아동(6.05)의 80% 수준에 그쳤다. 교육 결손이 누적되면 아이들의 미래에 장기간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성을 더한다.
‘등교 제한’은 방역의 실효성은 크지 않은 반면, 막대한 교육·사회적 손실을 초래한다. 한국보다 코로나19 감염이 훨씬 심각한 나라들도 등교 수업을 원칙으로 삼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교육과 방역이 조화를 이루려면 충분한 방역인력 배치와 교사들의 행정업무 부담 경감 등 전폭적인 지원을 해야 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