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오전 서울 송파구 보건소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안면보호구에 찬 습기를 닦고 있다. 연합뉴스
중앙방역대책본부가 10일 0시 기준 코로나19 위중증 환자 수가 460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국내 코로나19 유행 이후 가장 많은 수다. 신규 확진자도 전날보다 710명 급증하면서 사흘 만에 다시 2천명대로 올라섰다. 본격적인 ‘단계적 일상 회복’(위드 코로나)에 앞서 지난달 18일부터 사적모임 규제 등 방역을 일부 완화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달부터 시작된 일상 회복 조처의 여파가 본격화하면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 증가세가 더 가팔라질 가능성이 크다.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무엇보다 의료대응 역량을 높이는 일이 절실하다. 의료체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위드 코로나’로 가려면 유행 규모의 증가는 불가피하다. 방역과 일상의 균형을 위해선 방역 완화 조처가 수반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거리두기 완화로 확진자가 늘면 위중증 환자도 증가하리라는 건 어느 정도 예상된 일이기도 하다. 문제는 유행 증가세의 속도다. 우리 사회의 ‘위험 수용 능력’을 넘어설 정도로 급격하게 유행 규모가 커지는 일은 막아야 한다.
관건은 의료대응 역량이다. 정부는 그동안 위중증 환자 500명까지는 현재의 의료체계로 감당할 수 있다고 밝혀왔다. 의료체계가 감당하기 어려운 규모로 위중증 환자가 발생하면, 환자가 제대로 치료도 받지 못한 채 숨지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결코 그런 일이 있어선 안 된다. 그런데 위중증 환자가 하루 새 35명이나 늘어 460명이 됐다는 것은 가볍게 볼 일이 아니다. 실제 확진자가 급증하는 수도권에선 중환자 병상 가동률이 이미 70%를 넘어섰다. 정부는 지난 5일 발동한 병상 동원 행정명령을 통해 추가로 병상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병상 준비에는 4주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병상을 확보했다 하더라도 코로나19 치료를 위한 의료 인력과 장비가 없으면 무용지물이 될 수도 있다.
위중증 환자가 증가한 것은 최근 60대 이상 고령층 확진자가 늘었기 때문이다. 고령층의 경우, 백신을 일찍 접종한 탓에 예방 효과가 떨어져 돌파감염이 빈번한 것이 주요 원인이다. 고령층 가운데 미접종자도 여전히 100만명에 이른다. 방역 완화의 피해가 미접종 고령층에 집중될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미접종자의 백신 접종을 독려하는 것은 물론, 고령층의 추가접종(부스터샷)을 앞당기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