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성남도시개발공사 김문기 개발1처장이 사옥 1층 개발1처 처장실에서 숨진 채 발견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연합뉴스
대장동 개발 사업의 민간사업자 선정 과정에 관여한 김문기 성남도시개발공사(성남도개공) 개발1처장이 지난 21일 저녁 사무실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그는 대장동 개발 사업과 관련해 뇌물을 받은 혐의 등으로 구속 기소된 유동규 전 성남도개공 기획본부장의 측근으로 알려져 있다. 앞서 지난 10일에도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유한기 전 성남도개공 개발사업본부장이 유서를 남기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바 있다. 참으로 황망하고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김 처장은 최근까지 검찰 조사를 받았다. 그는 2015년 5월 성남도개공이 대장동 개발 사업 협약서를 작성할 당시 최초 검토 의견서에 담겨 있었던 ‘민간사업자 초과 이익 환수’ 조항이 삭제되는 과정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그러나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를 받았을 뿐, 수사 대상은 아니었다고 한다. 다만, 숨진 당일인 21일 오전 성남도개공으로부터 인사위원회에 중징계 의결이 회부됐다는 사실을 통보받았다고 한다. 대장동 의혹이 막 불거지던 지난 9월, 이른바 ‘대장동 5인방’ 중 한명인 정민용 변호사(전 성남도개공 전략사업실장)에게 민간사업자 평가배점표 등 내부 자료를 보여준 사실이 드러나서다. 공교롭게 검찰이 21일 정 변호사를 불구속 기소했는데, 김 처장이 그 일로 심리적 압박을 느꼈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정 변호사는 성남도개공 재직 당시 ‘초과 이익 환수’ 조항 삭제에 주도적으로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핵심 인물들이 잇따라 극단적 선택을 하면서, 검찰 수사가 난관에 봉착할 가능성이 커졌다. 유 전 본부장과 김 처장에 대한 조사를 통해 답보 상태인 성남시 쪽의 배임 의혹 등을 들여다보려던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특히 유 전 본부장은 2015년 2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측근인 정진상 당시 성남시 정책실장 이름을 언급하며 황무성 전 성남도개공 사장에게 사퇴를 압박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배임의 ‘윗선’ 의혹을 밝혀줄 핵심 인물이었던 셈이다.
대장동 의혹은 국민들에게 큰 분노와 박탈감을 안겨준 사건이다. 이대로 묻혀서는 안 된다. 검찰은 ‘50억 클럽’ 등 정관계 로비와 ‘윗선’ 수사에 끝까지 최선을 다해야 한다. 검찰이 수사 의지를 보이지 않는다면 신속한 특검 도입을 통해 실체적 진실을 규명해야 한다. 이재명 후보와 윤석열 후보 모두 이미 특검에 찬성한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빈말이 아니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