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자는 13일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장에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를 임명했다. 사진은 지난 5일 경기도 이천시산림조합 앞에서 공동유세를 하고 있는 모습. 공동취재사진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13일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를 대통령직인수위 위원장에, 권영세 국민의힘 의원을 부위원장에 임명했다. 또 기획위원장에 원희룡 전 제주지사를 임명했다. 인수위 7개 분과를 맡을 24명의 인수위원 인선은 이번주 중 순차 발표한다. 인수위와 별도로 당선자 직속 국민통합위원회도 구성하기로 했다. 윤 당선자는 인선을 직접 발표하면서 “일 잘하는 정부, 능력 있는 정부로 국민을 주인으로 제대로 모시고, 국민 통합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여성할당제와 지역 안배 원칙에 대해서는 “자리 나눠 먹기식으로 하는 것으로는 국민 통합이 안 된다고 본다”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윤 당선자는 대선 막판 안 대표와 후보 단일화를 발표하면서 “인수위원회 구성부터 공동정부 구성까지 함께 협의하며 국민통합 정부를 만들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안 대표를 인수위원장에 임명한 것은 일단 약속 이행의 첫 발을 뗀 것으로 볼 수 있다. 각 분과별 인수위원 인선에서도 통합의 원칙을 충실히 살려야 한다. 논공행상용 자리 나눠 갖기에 그친다면 첫 출발부터 국민들의 실망을 부를 것이다. 국민의당과의 작은 통합을 넘어 진영과 정파를 아우르는 대통합의 통 큰 자세로 인수위 구성에 임하기 바란다. 여성할당제나 지역 안배 원칙에 대해서도 부정적 선입견을 버리고 통합의 지렛대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번 대선에서 남녀 대립과 지역 구도가 심각하게 드러난 만큼 윤 당선자는 통합의 정신이 훼손되지 않도록 언행에 더욱더 신중을 기하기 바란다.
새 정부의 국정 방향을 잡기 위한 인수위 활동에서도 통합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 특히 여성가족부 폐지와 탈원전 폐기 등 국민 의견이 팽팽하게 갈려 국론 분열을 일으킬 수 있는 사안에 대해서는 인수위 단계에서 균형감을 갖고 원점에서 재검토하기 바란다. 0.73%포인트 차이의 대선 결과나 여소야대의 국회 구도를 고려하면, 일방적인 밀어붙이기는 통하지도 않을 뿐더러 가장 중요한 임기 초반 국정 동력을 소진시킬 위험성도 크다. 이런 점에서 윤 당선자가 이날 인수위원장 발표 기자회견에서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에 대해 “부처의 역사적 소명을 다하지 않았나”라며 미리 선을 그은 것은 우려스럽다. 무리한 선심성 공약에 대해서도 인수위가 경중과 우선순위를 가려야 할 것이다.
윤 당선자는 기자회견에서 대장동 특혜 개발 의혹 수사를 위한 특검법 처리와 관련해 “부정부패에 대해선 확실히 진상 규명할 수 있는 어떠한 조치든 해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비대위원장도 이날 오전 “특검법 3월 처리” 입장을 재확인했다. 특검 협상이 소모적인 대치로 흐르지 않도록 새 정부 출범 전에 대국적으로 합의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