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8일 오후 청와대 상춘재에서 대선 뒤 첫 회동에 앞서 인사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당선자가 28일 저녁 청와대에서 만났다. 두 사람은 만찬을 겸해 2시간50여분간 이어진 이날 회동에서 국정 현안 전반에 대해 흉금을 터놓고 대화를 나눴다고 장제원 당선자 비서실장이 밝혔다. 윤 당선자는 “많이 도와달라”고 했고, 문 대통령은 “저의 경험을 많이 활용해달라, 도울 것이 있으면 언제든 연락해달라”고 했다.
이날 만남은 대선을 치른 지 19일 만이다. 역대 대통령과 당선자 만남으로는 가장 늦은 것이다. 이 때문에 신구 권력 간 갈등으로 순조로운 정권 이양에 차질이 빚어지는 것 아니냐는 국민들의 우려가 컸다. 이날 문 대통령과 윤 당선자가 장시간 허심탄회하게 이야기를 나누면서 시급한 국정 현안에 대해 협력하기로 다짐한 것만으로도 국민들의 걱정이 많이 덜어졌으리라 본다.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과 관련해, 문 대통령은 “집무실 이전 지역에 대한 판단은 차기 정부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지금 정부는 정확한 이전 계획에 따른 예산을 면밀히 살펴 협조하겠다”고 말했다고 장 실장은 전했다. 다만 취임식 전에 이전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서는 문 대통령과 윤 당선자 모두 언급이 없었다고 한다. 앞으로 양쪽이 면밀한 협의를 통해 안보 공백, 예산 낭비, 시민 불편 등이 따르지 않는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임기 말 인사권 행사와 관련해선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과 장 실장이 실무적으로 계속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현직인 경우 남은 임기를 보장하고, 신규 인사는 당선자의 의견을 최대한 존중하는 등 순리대로 풀어 나가길 바란다. 자영업자 손실보상 추경 문제도 이 수석과 장 실장이 실무 협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민생과 직결된 사안인 만큼 양쪽 모두 전향적으로 논의를 이어가길 기대한다.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 문제는 일체 거론이 없었다. 국민 다수가 반대하는 데다 불필요한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사안인 만큼 더 이상 거론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문 대통령과 윤 당선자는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등 안보 문제와 관련해 정권 인수인계 과정에서 한치의 누수가 없도록 최선을 다해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국민의 생명과 국가 안위가 걸린 문제인 만큼 긴밀한 공조를 통해 빈틈없이 대응하기를 바란다 .
문 대통령과 윤 당선자는 다시 만날 계획을 따로 잡진 않았다. 일단 신뢰 관계를 회복하고 협력의 토대를 닦은 이상 필요하다면 만나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본다. 두 지도자가 서로 대화하고 협력하는 모습을 지속적으로 보여주기 바란다. 그게 통합을 바라는 국민의 여망에 부응하는 자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