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1.05 18:31 수정 : 2005.01.05 18:31

경기침체 속에서도 기업들이 사회공헌 예산을 늘린다고 한다. 바람직한 현상이다. 어려운 이웃들에게 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국민들의 반기업 정서를 누구러뜨리는 데도 한몫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개선해야 할 점도 적지 않다.

먼저 기업의 최고경영자가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철학을 확고히 해야 한다. 우리 사회에서는 아직도 기업의 사회공헌이라고 하면, 세밑이나 자연재해 때의 성금 모으기를 연상한다. 평소에는 별 관심을 보이지 않다가 생색내기 좋은 때에 마치 시혜 차원에서 큰돈을 기부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제는 사회공헌이야말로 기업과 사회가 공존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경영활동임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또, 사회공헌 활동도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빈민 구제나 봉사활동 차원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러려면 우선 기업 안에 전담조직을 만들어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선행돼야 한다. 그리고, 지역사회나 시민단체 등과 연계해 사회가 필요로 하고, 해당 기업에 맞는 수요처를 능동적으로 찾아나서야 한다. 활동 폭도 문화나 환경분야 등으로 다양하게 넓힐 필요가 있다.

정부 차원의 지원책도 좀더 강화해야 한다. 사회공헌 활동에 적극적인 기업들에 대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혜택을 주는 게 마땅하다. 세금 혜택 등 정형화한 지원책말고도 정부 입찰에서 가산점을 주는 등 여러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을 터이다.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은 어찌보면 정부가 할 일을 민간이 대신하는 측면도 있다. 정부가 내몰라라 할 일이 아니라는 얘기다.

얼마 전부터 삼성과 엘지 에스케이 등 몇몇 대기업들이 전담조직을 만들어 사회공헌 활동에 나선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그 밖의 적잖은 기업들이 사회공헌에 눈뜨기 시작한 것도 다행이다. 그런 흐름이 업계 전반으로 확산되고 체계화되길 바란다. 그래야만 기업이 사회와 한몸이 되고 국민의 사랑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