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의 일반인 희생자 유가족들이 22일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가 희생자들을 차별하고 있다고 규탄했다. 유족들이 전한 사례는 듣기 민망할 정도다.
정부는 세월호 참사 추모공원에 안치될 대상을 단원고 학생과 교사들로 한정하면서, 일반인과 승무원 희생자들에 대해선 아무 계획이 없다는 태도를 보였다고 한다. 학생들과 달리 일반인이나 승무원들은 생계나 여가 목적의 탑승이어서 정부의 책임이 덜하다는 말까지 한 공무원도 있는 모양이다. 안전행정부는 일반인 희생자 유족들의 여러 건의와 문의에도 지금껏 모르쇠로 일관했다고 한다.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유가족 대표들을 면담할 때도 일반인 희생자 유족들은 아무런 연락을 받지 못했고, 정부와 대책을 협의할 소통 창구조차 없다고 한다. 이런 무관심에 유족들이 분노하는 것은 당연하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일반인·승무원 희생자 유족들이 겪고 있는 고통과 상처를 세심하게 살피고 성의있는 조처를 다해야 할 것이다. 가족을 잃은 슬픔과 아픔의 무게가 결코 다를 수 없는 만큼, 추모공원 안치 대상을 학생과 교사로 한정하겠다는 발상부터 접어야 한다. 추모공원은 희생자 모두의 넋을 기리는 공간이면서, 세월호 참사의 전 과정을 숨김없이 생생하게 드러내고 잘못을 성찰함으로써 비극의 재발을 막는 산 교육장이 되어야 한다. 누구는 제외하고 무엇은 빼겠다는 식의 태도로는 추모와 성찰이 될 리 없다. 피해자와 유족들에 대한 관심과 배려의 자세를 잃지 않아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관심의 끈을 놓아선 안 될 이들로는 실종자 가족들이 우선이다.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한달이 훌쩍 넘었지만 주검으로라도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실종자가 아직도 16명이나 남아 있다. 끝이 보이지 않는 절망과 한없는 기다림에 지쳐 있는 실종자 가족들은 사람들의 관심에서 멀어지고 잊히다가 결국 가족을 물속에 홀로 남겨두게 되는 상황을 가장 걱정하고 있다고 한다. 그 고통과 두려움을 생각하면 가슴이 미어지지 않을 수 없다. 그렇잖아도 19일 박근혜 대통령이 해경 조직을 해체하겠다고 밝힌 뒤 실종자 구조를 맡은 해경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겠느냐는 걱정이 있는 터다. 가뜩이나 부실하다는 말을 들어온 수색작업이 여기서 더 느슨해진다면 남은 실종자 가족들의 고통은 더 길어지고 더 커질 것이다. 온 국민이 입은 상처를 치유하기도 어려워진다. 마지막 한 사람까지 구조에 최선을 다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