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를 앞두고 처음으로 치러진 사전투표가 유권자들의 적극 참여로 열기를 뿜었다. 투표율은 최종 11.49%로 집계됐는데 이 정도면 전체 투표율을 5%포인트가량 끌어올릴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야는 사전투표 열기의 유불리를 따지며 표 계산에 분주하지만, 민주주의 제도의 근간인 선거에 유권자의 참여가 많다는 것은 결과에 관계없이 바람직한 일이다.
이번 사전투표에서 두드러진 양상은 젊은층과 노장층의 투표율이 엇비슷하다는 점이다. 30대 이하가 25.38%, 50대 이상이 23.75%로 차이가 거의 없었다. 대체로 젊은층이 진보적인 성향, 노장층이 보수적인 성향을 보여온 것을 고려하면 팽팽한 세대 대결이 펼쳐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곰곰이 따져보면 꼭 그렇게만 볼 일이 아니라는 것도 확인된다. 20대 이하가 15.97%로 가장 투표율이 높았지만, 여기에는 군인·경찰 35만명의 부재자투표가 포함돼 있다. 이들을 빼면 실제 20대 이하의 투표율은 10%가 조금 넘어 평균치 미만이다. 또 30대는 그보다 낮은 9.41%를 기록해 평균에 훨씬 못 미쳤다. 반면에 50대는 11.53%, 60%는 12.22%로 평균보다 높게 나왔다. 결국 이번 사전투표도 부재자투표를 제외하면 기존 투표와 유사한 모습을 보여준 셈이다. 따라서 이번 투표율만 가지고 투표 흐름에 큰 변화가 있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그런 만큼 4일 치러지는 본투표의 결과가 더욱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번 선거는 지방일꾼을 뽑는 선거이기도 하지만, 박근혜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이 강하다. 구체적으로는 정부에 세월호 참사의 책임을 물을 것이냐를 놓고 찬반을 묻는 선거이기도 하다.
선거는 대의민주주의의 가장 중요한 토대다. 유권자들이 많이 참여할수록 선거의 대표성이 커지고 내실을 기할 수 있다. 투표하지 않고 정치를 욕하기만 하는 건 나쁜 정치를 방조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좋은 정치를 키우려면 유권자가 적극 나서야 한다. 투표가 민주시민의 의무인 까닭이 여기에 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