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광용 신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비서관에 이어, 김명수 교육부 장관 후보자까지 표절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다른 자리도 아니고 우리나라 교육을 책임지는 최고위직이라는 점에서 충격이 크다.
두 사람 모두 자신이 지도한 제자의 논문을 학술지에 실으면서 자신을 제1저자, 제자를 제2저자로 올렸다. 제자의 연구성과를 자신의 업적인 양 포장한 것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유사도가 5%를 넘으면 표절로 본다. 김 후보자의 논문은 제자의 논문과 88% 일치하고, 송 수석 논문의 유사도는 59%에 이른다고 한다. 변명의 여지가 없는 명백한 표절이다.
그런데도 두 사람은 변명을 늘어놓는다. “제자의 논문을 살려주기 위해 학술지에 게재했다. 내가 지도교수라 고마움을 느껴 제1저자로 올린 것으로 안다”(김 후보자)거나 “제자가 논문을 학술지에 게재하고 싶은데 그러려면 교수님 이름으로 발표하는 게 나을 것 같다고 요청했다”(송 수석)는 식이다. 표절뿐만 아니라 변명의 방식도 똑같다. 대학원에서 지도교수는 학생의 ‘갑’ 정도가 아니라 생살여탈권을 쥐고 있는 절대적 존재다. 학생이 먼저 요청했다는 건 낯뜨거운 핑계일 뿐이다. 제1저자냐 제2저자냐에 따라 교수의 논문 실적 평가, 연구력 지표 등이 좌우되기 때문에 두 사람이 제자의 공을 가로챘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더구나 두 사람이 문제의 논문을 학술지에 실을 무렵에는 송자 전 연세대 총장과 김병준 전 청와대 정책실장이 표절 의혹 때문에 교육장관 자리에서 탈락했다. 표절이 얼마나 중대한 하자인지 절감했을 텐데도 버젓이 감행했다. 게다가 교육계의 수장 자리에 앉아보겠다고 나섰으니, 욕심인지 무지인지 알 길이 없다. 김병준 교육부총리 후보자가 낙마할 때 당시 한나라당의 나경원 대변인은 “이번 표절 의혹은 교육 최일선에서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는 많은 교수분, 나아가 국민의 양심을 훔친 것”이라고 논평했다. 두 사람에게 고스란히 되돌려줘야 할 말이다.
청와대는 도대체 뭘 한 건지도 묻고 싶다. 그저 몇 명의 기자와 국회의원 보좌진이 며칠 만에 찾아낸 걸, 수많은 인력과 첨단장비를 동원할 수 있는 청와대가 검증 과정에서 걸러내지 않았다는 건 큰 문제다. 몰랐다면 극도로 무능한 거고, 알고도 봐줬다면 철면피한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16일 “비정상적인 관행과 문제들을 추상같이 바로잡겠다”고 말했다. 두 사람의 문제부터 바로잡는 것으로 비정상의 정상화를 이루길 바란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