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의 진상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 특위가 30일 첫 기관보고를 받았다. 여야가 따로 현장조사에 나서는 등 한참 티격태격하다 이제야 가까스로 일정을 잡았다. 시작부터 이러니 국정조사가 참사의 진상을 규명하는 책무를 다할 수 있을지 매우 걱정된다.
가장 우려되는 일은 청와대 등의 비협조적 태도다. 청와대 비서실과 국가안보실은 특위가 6월 초·중순에 요구한 185건의 자료 중 단 한 건도 아직 제출하지 않았다고 한다. 요구받은 때로부터 열흘 이내에 자료를 제출해야 한다는 국회법 규정을 어긴 것이다. 의원들이 요구한 자료는 사고 당시 청와대 상황실 근무일지와 청와대의 지시사항 등이다. 언제 청와대가 침몰 사실을 알았고, 조처는 제때 제대로 했는지 등 국민이 가장 궁금해하는 사항을 밝히려는 것이겠다. 그런데도 청와대는 법률 검토 등을 이유로 자료 제출을 미루고 있다. 국무총리실도 <한국방송> 보도의 문제점을 확인하겠다는 의원들의 자료 요청에 사생활 보호 등을 이유로 난색을 표한다고 한다. 이런 식으로 미적대고 어깃장을 놓는다면 “국정조사를 무력화해 진상규명을 방해한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뭔가 켕기는 게 있지 않으냐는 의심을 받아도 할 말이 없게 된다.
그런 의심을 받을 만한 정황도 여럿이다. 야당 쪽 조사를 보면, 정부는 애초 ‘에어포켓’의 존재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진작부터 알고 있었으면서도 세월호 침몰 이틀 뒤 물속 배의 아무 구멍에나 공기를 주입하는 ‘쇼’를 벌였다고 한다. 그나마 인체에 해로운 일산화탄소를 발생시킬 수 있는 공업용 오일을 쓰는 바람에 누군가 생존해 있었더라도 오히려 죽음으로 내몰렸을 것이라고 한다. 그런데도 그런 명령을 내렸으니, 생존자를 살리기 위한 것이 아니라 희생자 가족들과 국민을 속이기 위한 것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어디까지 이런 사실을 알고 있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이것만이 아니다. 야당 주장으로는, 침몰 초기 바지선 주변을 표류하던 주검 10구가 수습되자 해경이 ‘선체 내부에서 인양한 것으로 하라’고 조작을 지시하고 청와대 행정관도 이를 묵인했다고 한다. 세월호 관제 업무를 소홀히 했던 해경이 나중에 당시의 영상기록을 삭제하고 근무일지를 조작했다는 의혹도 검찰 수사에서 드러났다.
이런 의혹들을 남김없이 가려내자고 국정조사를 하는 것이다. 청와대와 정부도 진상규명 의지가 진심이라면 자료 제출 등에 적극 협조해야 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