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문화재제자리찾기 대표인 혜문 스님이 조만간 도쿄국립박물관을 상대로 오구라 컬렉션 반환을 요구하는 소송을 낼 계획이라고 한다.
오구라 컬렉션은 약탈 문화재 환수운동이 벌어질 때마다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으로, 일제강점기 대구에서 남선전기 사장을 하던 오구라 다케노스케가 도굴된 고고유물과 고미술품 등을 사들인 뒤 이를 일본으로 빼돌린 물품들이다. 이 안에는 명성황후를 살해한 일본인이 명성황후의 거처인 건청궁에서 수집한 12각상 등도 포함돼 있다고 한다. 조선의 국모를 처참하게 살해하고 그것도 모자라 문화재까지 노략질해 갔으니 통한의 역사가 피범벅 돼 있는 물품들이다.
하지만 이는 빙산의 일각일 뿐이다. 일본이 한국을 강점한 시기에 무려 6만점의 우리 문화재를 약탈해 갔다. 공식적으로 확인된 것만 그렇지 개인적으로 빼돌려진 것까지 포함하면 20만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그런데 일본 정부가 이런 문화재를 몰래 감추고 있음이 얼마 전 재판 과정에서 드러났다. 일본의 한 시민단체가 제기한 소송에서 일본 외무성은 “시민단체가 공개를 요구한 문서에는 그동안 한국 정부에 제시하지 않았던 문화재 목록이 포함돼 있다. 이를 공개할 경우 한국이 반환을 요구할 수 있다”고 진술했다. 우리 정부가 문화재를 반환하라고 주장하면 “유입 경로를 모른다”고 모르쇠로 일관했던 일본 정부가 사실은 모든 정황을 파악해놓고 있었던 것이다. 이건 마치 도둑이 “내가 뭘 훔쳤는지 들통나면 주인이 돌려달라고 하니 밝힐 수 없다”고 말하는 거나 진배없다.
유네스코 협약에 따르면 불법 취득한 문화재는 원소유주에게 돌려주어야 한다. 특히 문서에는 한국 문화재 입수 경위, 목록 작성 장소와 시기, 취득 원인, 취득 가액 등이 다 나와 있다고 한다. 정부는 일본 정부가 약탈 문화재 반환 요구를 피하려고 목록을 은폐한 사실을 스스로 인정한 만큼 강탈 문화재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 각종 자료와 기록의 공개를 강력히 요구하고 이를 돌려받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