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몰 직전의 난파선을 방불케 하는 혼돈의 아수라장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이 그야말로 총체적 난기류에 휩싸였다. 외부 비대위원장 영입 문제로 촉발된 갈등이 그동안 쌓인 문제들과 뒤섞이면서 대혼란으로 치닫고 있다. 박영선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의 퇴진을 겨냥한 탄핵 움직임마저 일고 있다. 원내 130석을 지닌 제1야당이 어쩌다 이 지경이 됐는지 혀를 찰 노릇이다.
당이 혼돈의 나락으로 떨어진 일차적 책임은 누가 뭐래도 박영선 위원장에게 있다. 그는 두 차례의 세월호 특별법 ‘덜컥 합의’에 이어 무리한 외부 비대위원장 영입 추진으로 세 차례나 치명적 과오를 되풀이했다. 단순한 실책으로 넘어가기에는 내용이 엄중하고 절차도 독단적이었다. ‘박영선 파동’은 여당의 오만을 덮고 청와대의 독선을 감추는 가리개가 되고 말았다. 그리고 박 위원장 자신은 비대위원장은 물론 원내대표의 기능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을 정도로 리더십에 치명적 타격을 입었다.
당을 위기에서 구하라고 뽑은 비대위원장이 분출하는 내부 퇴진 여론에 맞닥뜨렸으니 새정치연합으로선 참으로 기구한 상황이다. 그렇지만 지도부 문제를 정리하는 일은 이제 피할 수 없는 ‘발등의 불’이 됐다. 현실적으로 당내 입지가 크게 추락한 박 위원장이 세월호 특별법의 꼬인 매듭을 풀기엔 한계가 있다. 더구나 박 위원장은 두 차례의 여야 특별법 합의 파기로 여당은 물론 세월호 유가족 등 안팎에서 이미 신뢰를 크게 잃은 형편이다.
정기국회를 신속히 정상화하기 위해서도 야당의 지도부 정비는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됐다. 국회의 한 축을 이루는 야당이 리더십 부재의 상태에 빠져 있는 한 국회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기는 어렵다. 야당이 새로운 대여 협상 라인을 개설해야 세월호 특별법 등 여러 복잡한 쟁점 현안의 일괄타결을 시도해볼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이라도 마련된다.
박 위원장이 추진했던 비대위원장 영입이 물거품이 되면서 이제 외부에서 비대위원장을 모셔오기도 힘들게 됐다. 당 내부에서 비대위원장을 구하는 방안도 있겠지만 차라리 이번 기회에 새로운 비대위 구성이 필요한지부터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어차피 지금은 비대위가 출범해도 전당대회가 치러질 때까지 한시적으로 당을 관리하는 기구일 뿐 당을 근본적으로 혁신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정기국회가 결국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돌아간다는 점을 고려하면, 의원들의 총의로 원내대표를 새로 뽑아 당분간 당을 꾸려나가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수 있다.
물론 새정치연합이 당면한 모든 문제의 책임을 박 위원장 한 사람 탓으로 돌릴 수는 없다. 당내 중진이란 사람들도 무능하고 무책임하기는 마찬가지다. 당권에 마음이 쏠리고 계파 이익에 집착해 중진들이 틈만 나면 당을 흔들어대고 있는 게 지금의 야당이다. 박영선 비대위 체제의 실패는 야당의 기존 체질과 풍토를 바꾸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다시 한번 똑똑히 보여주고 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