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관계가 대북 전단 문제라는 걸림돌을 만났다. 이달 말이나 다음달 초에 있을 예정인 2차 남북 고위급 접촉이 무산될 수도 있는 분위기다. 정부는 남북 사이 긴장이 높아지지 않도록 잘 관리하면서 남북 관계 개선에 나서기 바란다.
대북 전단 문제는 해결하기 어려운 일이 아니다. 과거 남북 당국은 오랫동안 서로를 비난하는 전단을 공중살포해 왔으나 상호 비방을 중단하기로 한 합의 등이 작용해 이제는 보내지 않고 있다. 문제가 되는 것은 보수 성향의 남쪽 민간단체가 띄우는 대북 전단이다. 남쪽 당국이 살포를 배후조종한다는 북쪽 주장은 사실과 다르지만 북쪽이 보기엔 남북 합의에 어긋난다고 할 수 있다. 적어도 전단 살포가 남북 사이 긴장을 높이고 관계 개선에 걸림돌이 되는 것은 분명하다. 게다가 이제 전단 살포를 둘러싸고 총격전이 벌어지면서 휴전선 부근 주민의 신변 안전까지 우려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정부가 전단 살포를 중단시키는 것이 책임 있는 태도다.
북쪽 관영 언론들은 일제히 전단 살포를 비난하며 ‘2차 고위급 접촉은 물 건너간 것이나 다름없다’고 하고 있다. 전단 문제를 얼마나 예민하게 받아들이는지 보여준다. 하지만 북쪽은 여전히 남북 대화를 바라고 있다. 한반도를 둘러싼 객관적인 상황을 보더라도 남북 관계는 개선돼야 한다. 남북 사이에는 풀어야 할 현안이 많으며 주변적인 사안인 전단 살포 문제가 장애물이 돼선 안 된다. 지금 남북 관계를 적극적으로 개선하지 않는다면 북한 핵 문제를 풀 실마리를 찾기도 더 어려워진다.
남북이 비무장지대 안에서 총격전을 벌인 것은 2010년 10월 이후 처음이다. 특히 이번에는 북쪽이 쏜 총탄이 민간인 거주 지역에 떨어졌다. 이 또한 2010년 11월 연평도 포격사건 이후 4년 만이다. 이번에 양쪽이 상대를 향해 정확하게 조준사격을 했다면 국지전 상황으로 발전하거나 인명 피해가 날 수도 있었다. 이런 일이 벌어져서는 안 된다. 정부는 상황을 잘 관리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런 상황까지 가지 않도록 평소에 잘 대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도 남북 사이 지속적인 대화가 필요하다.
남북 관계를 풀려면 정부가 전향적인 태도를 갖고 일관성 있게 노력해야 한다. 이번과 같은 돌출적인 사건을 두고 일희일비하는 것은 관계 개선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남북 사이에 다양한 대화가 진행되고 사람과 물자의 교류협력이 활발해지면 이번과 같은 일도 일어날 여지가 없게 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