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편(종합편성채널)이 1일로 출범 3년을 맞았다. 애초 방송 다양성을 실현하겠다며 시작한 종편은 저질·편파 방송으로 여론 질서를 무너뜨리는 주범이 됐다는 손가락질을 받고 있다. 이런 방송을 그대로 두어야 하는지 국민적 차원의 검토가 시급한 상황이다.
종편의 문제는 정부·여당 등 기득권 집단에 유리한 불공정·편파 보도를 일삼는다는 데 있다. 이들이 일상적으로 저지르는 불공정 방송 사례는 너무 많아 일일이 거론할 수조차 없을 정도다. 우리의 방송법은 “방송보도는 공정하고 객관적이어야 한다”(6조1항)고 명시하고 있지만, 종편의 시사·보도 프로는 이런 공정성·객관성 조항을 비웃는 듯한 내용으로 넘친다. 특히 <티브이조선> <채널에이>는 그 정도가 심해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의 제재·행정지도가 지난 3년 사이 티브이조선 67건, 채널에이 41건에 이르렀다. 정부·여당 위주로 구성된 방심위가 종편 봐주기 심의로 일관한다는 말을 듣고 있는데도 이런 결과가 나오고 있으니, 그 정도가 얼마나 심한지 짐작하고도 남는다.
더 우려스러운 것은 시사·보도 프로의 오락화다. 보도와 논평은 공정성·객관성 유지가 생명인데도, 종편들은 뉴스를 저질 쇼와 다를 바 없는 방식으로 만들어 보수 일색의 관점으로 색깔공세나 인신비방을 저지르고 있다. ‘보도의 막장화’라고밖에 할 수 없는 이런 행태는 건전한 여론 형성의 토대를 무너뜨리고 시민정신이 자랄 기회를 박탈한다. 공론장의 활성화야말로 민주주의의 요체라 할 것인데, 이래서는 공론장도 무너지고 민주주의도 망가질 수밖에 없다.
이명박 정부의 특혜 속에서 태어난 종편은 박근혜 정부의 특혜 속에 여론 왜곡의 주범으로 성장하고 있다. 경영이 최악인 <경인방송>조차 내는 방송통신발전기금을 종편이 한푼도 내지 않고 있는 것은 특혜의 단적인 사례다. 정부가 진정으로 나라의 장래를 걱정한다면 이제라도 정권의 유불리를 떠나 방송 정상화에 나서야 한다. 방심위도 보수 편향의 정치심의가 아니라 객관성·공정성을 엄정하게 따지는 심의를 해야 한다. 이마저도 안 된다면 시민사회가 나서서 종편 바로잡기 운동이라도 벌여야 한다. 편파방송에 중독된 종편을 이대로 두고서는 우리 민주주의의 미래를 기약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