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평창 겨울올림픽을 앞두고 신축되는 경기장 7곳 가운데 6곳에 대해선 아무런 사후활용 계획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6000여억원의 건설비에 더해 해마다 수백억원의 유지관리비가 생짜로 들어갈 판이다. 고스란히 국민 부담이다.
애초 강원도는 사후활용은 걱정할 게 없다고 말해왔다. 대회 1년 전에만 결정되면 되기 때문에 빚 걱정도 없다는 것이었다. 분산개최론도 이런 논리로 반대했다. 하지만 <한겨레>가 확인한 바로는 사정이 전혀 다르다. 신설 경기장 가운데 사후 운영 주체와 비용 분담 계획이 확정된 곳은 한 곳뿐이다. 네 곳은 모두 ‘미정’이고, 나머지 두 곳도 가장 중요한 비용 분담 방안은 정해지지 않았다. 지금도 방법이 없는데 1~2년 뒤라고 뾰족한 수가 나오기는 어렵다. 이대로 어영부영 시간을 보내면 해당 지자체가 관리운영비를 모두 덤터기 쓰게 된다. 강원도는 그리되면 아예 철거하겠다지만, 며칠 쓰겠다고 짓고 다시 부수는 예산낭비도 크거니와 건축비에 맞먹는 철거비용도 만만치 않다. 어떤 경우든 부채규모가 이미 6000억원에 육박하는 강원도나 재정자립도가 극히 낮은 시·군으로선 ‘파산 선언’으로 내몰릴 수도 있는 엄청난 부담이다. 더 우물쭈물할 게 아니라 시급히 대안을 찾아야 한다.
지금은 명분 대신 실용적인 접근이 필요한 때다. 경기장 신축 공사가 진행중이라지만, 공정률은 대부분 10%에 훨씬 못 미친다. 공사 초기에 방향을 돌려야 그나마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예컨대 남자 아이스하키 경기장의 경우 서울 올림픽공원 시설을 고쳐 쓰면 신축 사업비 1079억원의 10분의 1도 안 되는 돈으로 충분하다고 한다. 6시간 남짓한 개·폐회식을 위해 859억원을 들여 새 건물을 지을 게 아니라, 애초 유치신청서대로 160억원으로 알펜시아 스키점프 경기장을 고쳐 쓰면 된다. 국내에 재활용할 시설이 없다면 다른 나라에서 찾는 방안도 처음부터 배제할 필요는 없다. 일부 종목의 경기방식 수정도 검토해볼 만하다. 며칠 잔치 때문에 평생 빚더미에 시달릴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