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옥 대법관 후보자가 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축소·은폐했던 검찰 수사팀의 검사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사실은 국회에 제출된 대법관 임명동의안에도 빠져 있었다고 한다. 박 후보자가 일부러 누락시킨 게 아닌지 의심된다. 역사적 책임을 끝내 회피하려 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박 후보자를 비롯한 검찰 수사팀은 당시 서울대생 박종철씨를 물고문해 죽게 만든 치안본부 대공수사관들로부터 “범인이 3명 더 있다”는 자백을 받고도 수사를 더 진행하지 않은 채 애초 드러난 수사관 2명만 기소하는 선에서 수사를 끝냈다. 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의 폭로로 재수사에 들어간 뒤에도 관계기관대책회의 등을 통해 벌어진 조직적인 사건 은폐와 조작에 대해선 제대로 수사하지 않고 책임자인 강민창 치안본부장을 무혐의 처리하는 등 사건 축소에 급급했다. 박 후보자는 당시 수사팀에 참여한 검사로서, 권력에 굴복해 국가폭력의 살인과 은폐·조작을 도운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 과거사위원회가 2009년 검찰의 사과를 촉구했음에도 박 후보자는 지금껏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았다. 인권 유린과 진실 왜곡으로 얼룩진 오욕의 역사를 반성할 의지가 없다고 볼 수밖에 없다.
이는 대법관으로선 치명적인 결함이다. 대법원은 사법정의와 인권의 마지막 보루여야 한다. 양승태 대법원장이 “인권의 마지막 보루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것이 사법부가 나아갈 목표이자 방향”이라고 말하는 등 사법부 스스로 거듭 자임해온 터다. 박종철 사건과 같은 고문과 가혹행위, 그리고 이를 통해 만들어내는 허위자백과 사건 조작은 인권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국가범죄다. 이런 범죄에 눈감고도 반성조차 않는 이가 어떻게 최고법원의 법관이 될 수 있다는 말인가.
박 후보자는 박종철 사건 말고도 1992년 무고한 시민을 물고문한 혐의로 입건된 경찰관을 피해자와 합의했다는 이유만으로 불구속 처리하기도 했다. 경찰이 피해 시민에게 합의를 종용하는 등 사건을 축소하려 한다는 의혹이 있는데도 그리했으니, 박종철 사건 처리와 판박이다. 이런 사고방식으로 굳어진 사람이 대법관으로서 국가권력의 자의적 행사를 막고 국민의 기본권을 지키리라고 기대하기는 어렵다.
박 후보자는 지금이라도 스스로 사퇴해야 한다. 이런 인물을 대법관 후보로 추천한 대법관후보추천위원회와, 대법관으로 제청하고 임명 동의를 요청한 양승태 대법원장과 박근혜 대통령도 마땅히 사과하고 이를 철회해야 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