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학년 새 학기 첫날인 2일 대구에 있는 경북예술고에서 등록금이 밀린 학생 3명을 교실에 들어오지 못하게 한 뒤 학교 도서관에서 따로 자습을 시킨 일이 벌어졌다. 비교육적이고 반인권적인 처사다. 당사자들이 느꼈을 굴욕감이 어떠했을지, 이를 지켜본 다른 학생들이 무얼 배웠을지 생각하면 끔찍하다. 학교 책임자들은 이러고도 교육자입네 하고 얼굴을 들고 다닐 것인가.
학교 쪽은 이 학생들이 1~2년 동안 등록금 등을 내지 않았고 미납자가 늘어나면 학교 운영이 어렵다고 이유를 설명한 모양이다. 예술고라는 특성상 등록금과 레슨비 등을 합치면 납부금이 한 해 1000만원가량에 이른다고 한다. 하지만 이런 변명은 더욱 어처구니가 없다. 학생들이 그토록 오랫동안 납부금을 내지 못했다면 학교가 그 이유를 알아보고 도와줄 방법을 궁리했어야 옳다. 학교 스스로 입시 과정을 통해 재능을 인정하고 선발한 학생들 아닌가. 어떻게든 그 재능을 북돋워 인재로 키워낼 교육적 책무는 뒤로한 채 빚 독촉하듯 수단을 가리지 않고 납부금 받아내기에 급급했으니 교육기관이라고 일컫기도 부끄럽다.
학생들의 인격을 존중하고 차별 없이 대하는 것은 교육의 기본 원리다. 가정환경과 성장 배경이 다양한 학생들이 한데 어우러져 상호존중과 배려, 협력의 가치를 배울 때 건전한 시민, 공동체의 지도자로 성장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의 교육 현실은 갈수록 학력과 계층에 따라 학생들을 나누고 차별을 불가피하게 여기는 쪽으로 흐르고 있다. 무상급식 논란만 보더라도, 얼마 되지 않는 예산을 핑계로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열등감과 수치심을 강요하려는 비교육적 주장이 끊임없이 반복되고 있다. 등록금을 미납했다고 학생을 수업에서 배제하는 황당한 발상이 나온 배경에는 이런 세태도 작용했으리라 본다.
경북예술고와 대구시교육청은 철저한 반성과 함께 학생들의 사정 파악과 장학금 등 지원 방안 마련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정부도 교육복지의 사각지대를 다시 점검하는 것은 물론 교육정책의 근본적인 방향을 성찰하는 계기로 삼기 바란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