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제시한 평창겨울올림픽 분산개최 결정 마감시한인 3월31일이 지났다. 분산개최에 대한 진지한 검토나 대화는 끝내 없었다. 이제 예산낭비와 지자체 재정파탄, 환경파괴는 피할 수 없게 됐다. 그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아이오시가 분산개최를 권고한 지 8일 만에 “분산개최는 의미 없다”고 말해 검토와 논의를 원천 차단했다. 그가 어떤 정보에 따라, 무슨 근거로 그리 말했는지는 알 수 없다. 국외 분산개최 거부인지, 국내 분산개최까지 안 된다는 것인지도 불분명하다. 그의 말이 나온 뒤 정부는 분산개최에 귀를 닫았다. 이로 인한 책임은 온전히 박근혜 정부의 몫이다.
김진선 전 조직위원장은 파탄의 포석을 놓았다. 적자가 계속되는 알펜시아 리조트 건설을 주도해 강원도의 재정파탄을 불러왔고, 경기장들을 인구가 적은 곳에 몰아넣어 사후활용을 어렵게 했다. 환경파괴를 최소화하라는 아이오시 권고와 달리 가리왕산 훼손을 고집했고, 아이오시가 분산개최 방침을 정한 지난해 초 이후에도 적자 올림픽을 막을 조처를 전혀 하지 않았다.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도내 분산개최 요구조차 외면하고 내부 갈등도 조정하지 못한 무능에 책임이 있다. 사후활용 방안 마련에 실패해 세금낭비를 재촉한 것도 그의 책임이다. 조양호 조직위원장은 분산개최를 요구한 시민사회의 대화 요구를 일축하고, 스폰서 유치 등 마케팅에도 실패했다. 그런 무능과 무책임이 모여 평창의 파탄은 예비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그에 따른 법적·정치적 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들이 책임자라는 사실을 확실히 밝혀두고자 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