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컬러스 스턴 등 기후변화에 관한 세계적인 권위자 17명은 ‘지구의 날’인 22일 성명을 내어, 금세기 말까지 지구 온도 상승을 2도 이내로 억제하려면 각국이 2050년까지 ‘탄소 배출 제로’ 사회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0년부터 세계의 모든 나라가 감축 의무를 지는 새로운 기후체제 수립 전망도 밝아지고 있다. 세계 8위의 온실가스 배출국인 우리나라가 이런 국제적 흐름에 어떤 대응책을 세워놓고 있는지 걱정스럽다.
무엇보다 정부가 국제사회에 약속한 2020년까지 배출 전망치의 30%를 줄이겠다는 목표를 지키는 것이 눈앞의 과제다. 선진국처럼 절대적인 감축이 아닌 증가 추세를 누그러뜨리겠다는 것인데도 산업계를 의식한 정부의 느슨한 대책으로 달성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산업 부문이 온실가스 배출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지만 시민들이 손을 놓고 있을 수만은 없다. 정부의 감축 목표량 가운데 생활분야에서 줄여야 할 비중이 19%나 되기 때문이다. 오히려 시민들이 생활 속에서 온실가스를 줄이는 실천을 앞장서면서, 거기서 얻은 힘으로 기업과 정치권을 압박해 더 강력한 감축을 이끄는 것이 옳아 보인다.
마침 정부와 시민단체가 지구의 날부터 1주일을 ‘기후변화 주간’으로 정하고 국민 1인당 온실가스 배출을 연간 1톤 줄이자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40가지 수칙을 모두 지키면 1인당 1233㎏의 온실가스를 줄여 생활분야 감축 목표량 4400만톤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천수칙을 보면, 온실가스 줄이기가 고통이라기보다 삶을 풍요롭게 하고 건강을 살리는 내용도 적지 않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과 형광등을 각각 하루 한 시간 끄면 연간 9.3㎏의 온실가스를 덜 배출하면서 가족과의 대화 시간과 눈 건강을 덤으로 얻을 수 있다. 경제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절감책은 승용차 요일제에 참여하는 것으로 455㎏을 줄이고, 보일러 사용을 1시간 줄여도 136㎏의 온실가스가 덜 나온다.
참여하고 실천하는 시민이야말로 ‘시민은 줄이는데 정부는 늘리는’ 꼴을 보지 못하는 법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