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을 졸업한 사람이 올해 기업체 신입사원 되기가 더 어려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17일 내놓은 ‘2015년 신입사원 채용실태’를 보면, 대졸자들의 취업 경쟁률이 평균 32.3 대 1에 이르렀다. 100명이 지원했을 때 3.1명만이 뽑혔다는 얘기다. 이런 경쟁률은 지난해에 견줘 12.9%나 높아진 것이다. 힘들게 대학 4년 과정을 마쳐도 취직을 못해 어깨가 축 처지는 게 대다수 대졸자들의 현실이다. 비단 대졸자만이 그런 것도 아니다. 많은 젊은이들이 취업난에 시달리고 있다. 이를 지켜보는 가족들의 부담도 적지 않다.
통계청은 4월 청년(15~29살) 실업률이 10.2%를 나타냈다고 며칠 전 발표했다. 1년 전보다 0.8%포인트 높아졌으며, 4월치만 따지면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99년 6월 이후 최고치라고 한다. 전체 실업률(3.9%)의 2.6배다. 우울한 자료는 더 있다. 서울노동권익센터가 최근 낸 자료를 보면, 전국의 청년층 실질실업률이 지난해 30.9%나 된다. 2010년 27.4%에서 4년새 3.5%포인트 늘어났다. 실질실업률은 공식실업률에, 나이가 많지 않지만 취업을 포기한 사람과 취업준비자, 구직단념자 등을 합해서 산출한 것이다.
청년층의 실업률이 높은 것은 다른 나라들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일자리를 찾는 탐색 경험이 상대적으로 적고, 이직이 잦은 점 등이 주된 이유로 꼽히고 있다. 이런 구조적 요인에다 세계 금융위기 뒤 경기부진이 겹치면서 청년층 실업률은 크게 뛰었다. 청년층이 미래를 이끌어갈 세대라는 점에서 걱정스런 일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실업 상태가 오래 이어지면 직장에서 필요한 업무 능력 등을 키우기 어려워지고 취업 가능성이 더 줄어들기 마련이다. 이는 개인의 좌절에 그치지 않는다. 한창 일해야 할 사람이 뒷전으로 밀려남에 따라 나라경제의 성장잠재력을 손상할 수 있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고령화가 급진전하고 있어 문제가 간단치 않다. 노인층을 부양하는 데 구멍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만큼 정부가 좀더 실효성 있는 해법을 마련해야 한다. 지금도 이런저런 청년실업 해소 대책을 시행중이지만 힘이 많이 달린다. 이와 관련해 최경환 경제부총리 등이 임금피크제가 묘수라도 되는 듯이 강조하고 있는데, 이것만으로 한계가 있음은 정부도 모르지 않을 것이다. 청년들이 자신들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혜를 짜내야 할 때다. 기업들도 협조해야 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