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이 19일 ‘동료 직원을 보내며’라는 제목으로 ‘국정원 직원 일동’ 명의의 보도자료를 냈다. 전날 스스로 목숨을 끊은 국정원 직원의 죽음을 계기로 정치권과 언론의 국정원 해킹 의혹 제기에 대해 항변하는, 일종의 성명이다.
동료의 죽음 앞에 선 비통한 심경의 표현이라면 이해 못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모두가 공감하는 억울한 일이라면 고인 대신 호소하고 신원에 나서는 것도 당연한 도리다. 하지만 이번 성명이 과연 그런지는 의문이다. 국정원은 직원 수가 최소한 수천명에 이른다는 대규모 조직이다. 정보기관의 속성상 철저한 차단이 원칙이어서, 누가 어디서 무슨 일을 하는지 모르도록 돼 있다. 그런 조직에서 ‘직원 일동’이 동료의 억울한 사정을 충분히 이해한 상태에서 집단행동에까지 나서는 일이 과연 가능한지 의문이다. 전체 회람조차 어려웠을 것이다. 누군가 성명을 쓰고 제멋대로 “직원 일동”이라고 붙인 게 아닌지 의심할 수밖에 없다. 이를 통해 어떤 효과를 노렸는지도 묻지 않을 수 없다.
직원 일동의 성명이라 해도 문제가 있다. 공안기관은 그동안 공무원의 집단행동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여왔다. 그런 잣대로는 이번 일은 매우 심한 정치적 집단행동이다. 국민의 대표로서 민주적 통제권한을 지닌 국회가 국정원 사찰 의혹을 조사하려 하자 해당 관료조직이 집단으로 반발하는 ‘항명’을 한 것이니 더욱 심각하다. 국가안보의 근간이라는 조직에서 이런 일이 벌어졌으니 앞으로 더한 일도 생길 수 있다. 이런 일을 누가 계획하고 주도했는지 조사해 책임을 묻는 게 마땅하다. 국정원이 이를 방치한다면 국정원 조직 스스로 동료의 죽음을 정치적으로 이용했다고 자백하는 꼴이 된다.
성명 내용에는 터무니없는 인식이 한둘이 아니다. 성명은 해킹 따위가 “외국 정보기관에선 아무런 논란 없이 받아들여졌”다고 주장하지만, 그런 인권 후진국의 독재적 감시와 탄압이 부럽다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근거 없는 의혹”과 “백해무익한 논란”으로 “정보역량이 훼손됐다”지만, 국내를 겨냥한 해킹과 도·감청이 벌어졌다는 정황증거는 이미 여럿이다. 국민을 상대로 한 도·감청이 어떻게 눈감아줘야 할 안보역량이라는 것인지 의아할 따름이다.
성명은 국정원의 해명을 믿어달라고 거듭 강변하지만, 대선개입 댓글 사건이나 간첩증거 조작 사건 등 국정원 주장이 결국 거짓으로 밝혀진 일은 한둘이 아니다. 국정원은 헛웃음만 나오는 억지와 강변을 멈추고 진상 규명에 적극 협조해야 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