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증권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이 나라를 대표하는 주식가격 지표인 상하이지수가 27일 8.5%나 떨어져 ‘검은 월요일’을 연출했다. 하루 하락폭으로는 2007년 2월27일 이후 가장 크다. 그 여파로 우리나라와 일본 등 아시아는 물론, 유럽과 미국의 주가지수도 출렁거렸다. 지난 8일 5.9% 급락으로 시장이 흔들리자 중국 정부가 여러 부양책을 펴면서 반등하다가 다시 폭락세를 보인 것이다. 28일 낙폭이 1.7%로 줄어들긴 했지만 많은 전문가들은 당분간 중국 주가의 널뛰기 양상이 이어질 것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상황이 예사롭지 않은 만큼 금융 불안의 전염 가능성 등에 대비해야 한다.
중국 주가가 27일 폭락한 데에는 몇 가지 요인이 꼽힌다. 이날 발표된 중국 제조업 분야 기업들의 평균 순이익이 하락세로 돌아선데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높아지면서 추가 금리 인하 등이 쉽지 않을 수 있다는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커졌다고 한다. 여기에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등이 한몫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마디로 중국 경제의 기초체력(펀더멘털)이 취약해졌음을 에둘러 보여준다. 8일의 주가 급락 직후 정부가 중앙은행을 동원해 주식을 사들이고 신주 발행과 기업 공개를 금지하는 등의 조처를 취했지만 약발이 다한 것이다.
하지만 중국 정부가 부양책을 포기할 것 같지는 않다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는 “중국 당국이 증시 안정화 작업에서 손을 뗐다는 말은 사실이 아니”라며 “증시 안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증권시장이 크게 흔들리면 체제 안정에 위협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 등도 무시할 수 없다.
그럼에도 중국발 금융불안은 이제 상수가 됐다고 보고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중국 정부가 떠받치는 ‘관제 주가’가 언제까지나 지속가능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중국의 금융불안이 금융위기로 확산하거나 하면 한국과 세계 경제에 던지는 파장이 간단치 않을 것이다. 금융 부문뿐만 아니라 실물경제까지 영향이 미칠 수밖에 없다. 그리스 사태에서 보듯, 세계 금융위기의 여진에서 좀체 탈피하지 못하고 있는데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또 다른 충격이 가해지는 것 아니겠는가. 특히 우리나라는 중국과의 경제관계가 깊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대중국 수출 비중이 25%에 이르는 게 단적으로 일러준다. 이런 중국 변수를 우리가 주체적으로 통제할 수는 없지만 만반의 준비를 한다면 부정적 효과를 줄일 수는 있을 것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