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정도 예상하기는 했지만 엄청난 규모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조선업계 대형 3사의 2분기 적자액을 두고 하는 말이다. 대우조선해양이 그동안 숨겨온 누적 손실을 재무제표에 반영함에 따라 무려 3조318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이어 삼성중공업이 1조5418억원, 현대중공업이 1924억원의 손실을 나타냈다. 상반기로 범위를 넓히면 3개 조선사 영업손실은 모두 5조원 가까이 된다. 조선업이 경기동향에 민감하다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예사롭지 않다. 업황이 당분간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많아 더 그렇다.
조선업계가 불황이라는 말이 나온 지는 제법 됐다. 우리나라만이 아니라 다른 나라도 형편은 비슷하다. 세계 금융위기 여진이 계속되는데다 저유가 현상이 빚어진 게 큰 구실을 했다. 유조선과 대형 컨테이너선 주문은 그런대로 이어지지만 해양플랜트, 에코십 시장이 크게 위축되는 결과를 낳은 것이다. 국내 3대 조선업체의 경우 해양플랜트 비중을 높인 게 치명타가 됐다고 한다. 어찌됐든 체질 개선을 위한 노력을 강화하는 것은 불가피해졌다. 당장의 생존을 위해서는 물론,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여기서 특별히 대우조선 문제를 짚지 않을 수 없다. 대우조선은 경영 실적이 나쁜데도 이를 공개하지 않았다. 회계 처리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이다. 사장의 자리보전 등을 위해 그런 것으로 풀이되는데 엄정한 문책이 있어야 한다. 조선업 특성상 선박 제조 공정의 후반부에 공사원가가 다시 계산되고 그래서 손실 규모가 조정될 수 있다고 해도 면책이 될 수는 없다. 지난해 현대중공업 등이 큰 손실을 공표한 가운데 대우조선은 영업이익이 한해 전보다 300억원가량 늘어 4500억원이라고 발표했다. 당시 업계 동향 등으로 미뤄 고개를 갸우뚱할 만한 수치다.
하지만 아무도 이를 잡아내지 못했다. 특히 대우조선의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은 제대로 감시·감독을 하지 못했다. 산업은행은 대우조선에 부사장 겸 최고재무책임자(CFO)를 파견하고서도 그랬다. 알고도 눈감은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올 만하다. 국책은행으로서 왜 그랬는지 밝히고 걸맞은 책임을 지워야 한다. 대우조선 담당 회계법인과 신용평가사도 예외가 될 수 없다. 이들은 대우조선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도 모른 채 좋은 평가를 내렸다. 증권회사 가운데 여럿도 대우조선 주식에 대해 ‘매수’ 의견을 냈다고 한다. 이런 상태에서는 자본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