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국정감사에서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과 김범수 다음카카오 이사회 의장을 증인으로 부를 계획이라고 한다. 모바일 포털사이트에 배치한 기사들이 심각한 정치적 편향을 띠고 있다는 게 그 이유다. 조원진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는 “공정성에 문제가 있어 4개 상임위에서 포털사이트 대표들을 증인으로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네이버와 다음은 언론기관이 아니지만 뉴스 유통 과정에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점에서 어느 신문·방송 못지않게 공정성과 객관성을 담보해야 하는 건 맞다. 하지만 포털이 편파적이라는 새누리당 주장을 살펴보면, 공정성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고 결국 자신에게 유리한 뉴스 편집을 하지 않는다는 게 주된 이유다. 포털을 길들임으로써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치적 반사이익을 얻겠다는 속셈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은 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이 서강대 최형우 교수팀에 의뢰해 작성한 ‘포털 모바일뉴스 메인화면 빅데이터 분석 보고서’를 규제 근거로 내세우고 있다. 이 보고서를 보면, 정부·여당에 대한 부정적 기사가 야당에 대한 부정적 기사보다 7배나 더 많다는 게 핵심 내용이다. 하지만 ‘정부’와 ‘여당’을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어서 분류하면 세계 어느 나라 인터넷 사이트든지 정부·여당 비판 기사가 야당 비판 기사에 비해 훨씬 많을 수밖에 없다. 가령 ‘지명수배자를 풀어준 어수룩한 경찰’이라든지 ‘대학 성범죄, 교육부는 통계도 없다’는 등의 기사가 모두 ‘정부·여당’엔 불리한 기사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이런 식으로 기사를 분류한다면, 박근혜 정부뿐 아니라 과거 김대중·노무현 정부 때도 정부 비판 기사가 야당 비판 기사에 비해 월등히 많은 걸로 나오는 게 당연하다. 언론의 기본 임무가 권력 감시와 비판인데, 행정부 비판을 ‘정치적 편향’으로 모는 것 자체가 언론 기능에 대한 무지를 보여준다.
네이버, 다음과 같은 인터넷 포털이 언론 시장의 절대 강자로 자리잡은 것은 한국만의 특수한 상황이며 이것이 꼭 바람직하지는 않다. 포털은 그 덩치에 걸맞게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게 옳다. 하지만 적어도 뉴스 편집의 정치적 편향을 이유로 포털 대표를 국정감사에 부르겠다는 새누리당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 그런 이유라면 종합편성채널 대표를 먼저 국회로 불러야 마땅하다. 최소한의 정치적 균형도 무시하고 선정적 편파 보도를 계속하는 종편은 그냥 놔두면서 포털에만 ‘공정성’을 외치는 게 과연 말이 된다고 생각하는지 묻고 싶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