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부터 새달 11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제2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가 196개국 정부와 민간, 언론 등 3만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열린다. 2020년 이후 선진국과 개도국이 모두 참여하는 새로운 기후체제를 수립하기 위한 이번 총회는 “지구 역사상 가장 중요한 2주일”로 불릴 만큼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인류가 기후재앙에 빠지지 않으려면 지구 온도 상승을 이번 세기 말까지 2도 이내로 억제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대로라면 온도 상승은 3.7도에 이를 것으로 유엔 정부간 기후변화 위원회(IPCC)는 내다본다. 문제는 이번 총회를 앞두고 147개 당사국이 제출한 자발적 감축계획(INDC)을 온전히 이행하더라도 2100년까지 기온 상승이 2.7도에 이른다는 사실이다. 이번에 새로운 기후체제 출범에 합의한 뒤에도 주기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성과를 검토해 목표를 강화하는 등 후속 작업이 필요하다. 2009년 코펜하겐 당사국 총회를 실패로 몰아넣었던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사이의 책임부담과 자금지원을 둘러싼 대립을 넘어서는 것도 쉽지 않은 과제다.
그러나 이번 총회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도 적지 않다. 무엇보다 세계 최대의 온실가스 배출국이자 이제까지 국제적인 기후대응에 걸림돌이던 미국과 중국이 협상 타결에 전향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이 큰 경제적 부담 없이 실현 가능하며 오히려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공감대가 세계에 퍼지고 있는 것도 긍정적인 배경이다.
유럽연합의 최근 분석을 보면, 지난해 세계 경제는 3% 성장했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은 지난 10년 새 가장 낮은 0.5% 증가에 그쳤다. 경제가 성장해도 온실가스 배출량은 줄어들 가능성을 보인 것이다. 또 국제에너지기구의 최근 보고서는 지난해 새로 건설된 발전소의 거의 절반이 재생에너지라고 밝혔다. 이회성 아이피시시 의장이 “야심적인 감축 시나리오에서도 2050년까지 세계의 경제성장이 지체되는 기간은 1.5년에 불과하다”고 한 말도 새겨볼 만하다.
파리 기후회의가 열리기 하루 전인 29일 서울을 비롯한 뉴욕, 런던, 도쿄 등 세계 주요 도시에서는 수십만명이 모여 기후행진을 벌일 예정이다. 각국 지도자들은 이런 세계 시민사회의 촉구를 무겁게 받아들여 새로운 기후체제 수립에 적극 나서야 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말대로 이는 인류의 긴급한 도덕적 책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