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야흐로 인재영입의 계절이다. 올해 4월로 예정된 총선에다 야당의 분열과 신당 창당 등으로 정치지형이 요동치는 상황에서 각 정당의 사람 끌어모으기 경쟁이 치열하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벌써부터 곳곳에서 잡음이 빚어지고 있다. 도덕성에 흠집이 있는 인물 등 정치 부적격자들의 정치권 진입 움직임도 함께 본격화하고 있는 탓이다.
안철수 의원이 이끄는 ‘국민의 당’은 지난 8일 첫 외부인사 영입을 발표했으나 일부 인사의 도덕성 문제가 불거지자 3시간 만에 영입을 취소하는 소동을 벌였다. 영입 대상자들 중 김동신 전 국방부 장관은 ‘북풍’ 사건 개입 의혹에 대한 청와대 조사를 무마하기 위해 청와대 행정관에게 금품을 건넨 혐의로, 허신행 전 농림수산부 장관은 서울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공사의 신입사원 부정채용 혐의로 각각 기소유예와 불구속기소 처분을 받은 전력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특히 건설업자에게 현금과 향응을 받아 ‘스폰서 검사’ 별명이 붙은 한승철 전 검사장까지 영입 대상으로 삼은 대목에 이르면 쓴웃음을 짓지 않을 수 없다. 더불어민주당의 경우도 ‘인재영입 4호’로 발표된 김선현 차의과학대 교수가 위안부 할머니 그림 도용과 논문 표절 등의 의혹으로 자진사퇴했다.
수요가 많아지면 공급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는 것은 인재영입 시장도 마찬가지다. 정치를 하고 싶어하는 사람은 많아도 막상 제대로 된 능력과 도덕성을 갖춘 일꾼을 찾기 힘든 것이 현실이기도 하다. 인재영입의 기준을 확고히 하고 검증을 철저히 하지 않으면 자칫 인재영입이 아니라 ‘부적격자 영입’의 결과로 이어지기 십상이다.
특히 새로 창당하는 국민의 당은 이런 점을 더욱 유의해야 한다. 국민의 당은 10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창당발기인대회를 열고 1978명의 창당발기인 명단을 발표했다. 이들 중 상당수는 앞으로 정식으로 입당해 올해 총선에서 공천을 받기를 희망하고 있을 것이다. 국민의 당은 인재영입에 대해 “기득권을 배제해 진입 장벽을 낮추고 유연한 기준으로 많은 인재를 끌어모으겠다”고 공언하고 있다. 하지만 그것이 자칫 부정부패 연루자들의 정치권 진입 장벽을 낮추고 기회주의적 ‘철새 인사’들을 관대하게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해서는 안 될 것이다. 철저한 검증 없이 사람 끌어모으기와 세력 확장에만 몰두하면 이번과 같은 ‘인사참사’는 또다시 되풀이될 수 있다. 거창한 창당선언문도 좋지만 정치의 핵심은 결국 ‘사람’임을 잊지 말기 바란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