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대 이인수 총장의 비리 의혹은 2011년 감사원이 수원대 감사에 나서면서 얼추 수면 위로 등장했다. 하지만 최근 <한겨레>가 심층 추적보도한 내용을 보면, 이 총장의 비리 의혹은 ‘상상 이상’이다. 이미 숨진 총장의 아버지가 버젓이 임대계약서에 서명하고 이사회를 주재하는가 하면 총장 판공비를 사용하는 등의 웃지 못할 일도 벌어졌다. 학교를 다닌 사실조차 없는 총장의 아들이 허위 졸업장을 받았고, 계약직으로 일하는 학교 직원들이 총장 개인 소유의 회사에서 일하고 학교가 월급을 주기도 했다. 그간 소문으로 나돌던 비리 의혹의 생생한 실태는 참으로 놀랍다.
그런데도 ‘이인수 제국’의 철옹성은 여전히 건재하기만 하다. 검찰은 업무상 횡령, 배임수재, 사문서 위조, 뇌물공여, 사립학교법 위반 등 40여건의 혐의에 대해 19개월 동안 수사하고도, 단 한 건을 빼고는 모두 무혐의 처분해 버렸다. 검찰이 애초부터 확고한 수사 의지가 없었음은 지난해 말 검찰이 이 총장을 고발했다 해직당한 수원대 교수에게 복직을 거론하며 사건 무마를 시도한 데서도 잘 드러난다. 공정하고 엄정한 수사 책무를 지닌 검찰이 봐주기 수사로도 모자라 아예 피의자의 대리인 행세를 했으니 참으로 어처구니가 없다.
수원대 비리의 싹이 아직껏 도려내지지 않은 까닭은 검찰뿐 아니라 정·관계, 언론계 등 곳곳에서 이 총장을 감싸고도는 막강한 ‘내부자들’을 빼고는 달리 설명하기 힘들다. 이 총장은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각별한 친분을 맺어온데다, <조선일보> 사주의 사돈이기도 하다. 여야를 가릴 것 없이 중진 의원들이 든든한 뒷배경 노릇을 해준 정황은 넘쳐난다. 웬만한 재벌 총수조차 국회 국정감사장에 불려오는 마당에, 3년 내리 이 총장의 국감 증인 채택이 불발된 것은 바로 이런 내부자들의 도움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수원대 비리는 사학비리의 백화점이자 ‘끝판왕’이라 해도 전혀 손색이 없다. 사학비리의 대명사인 상지대조차 이 정도는 아니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진리의 전당이어야 할 사학이 총장의 사리사욕을 채워주는 비리의 터전으로 전락한 상황을 더는 방치할 수 없다. 이제라도 이 총장과 그를 비호하는 내부자들의 커넥션을 밝혀내지 못한다면, 우리 사회는 더 이상 정의와 법치를 입에 올릴 수 없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