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기계의 두뇌 대결로 세계적인 관심을 끈 프로기사 이세돌 9단과 구글의 인공지능 프로그램 ‘알파고’ 사이의 첫 대국이 9일 벌어져 알파고가 첫 승을 따냈다. 오는 15일까지 다섯 차례의 대국을 이어갈 예정이어서 첫 대국만으로 승패를 예측하긴 어렵다. 그러나 알파고가 최정상의 바둑 고수와 시종일관 팽팽한 수 싸움 끝에 예상 밖의 불계승을 거뒀다. 인공지능 기술의 놀라운 발전이 어디까지 왔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회였다.
인공지능 기술이 인간의 우위를 위협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 1997년 아이비엠의 ‘딥블루’가 체스 세계챔피언 가리 카스파로프를 이겼고, 2011년에는 이 회사가 개발한 컴퓨터 ‘왓슨’이 미국의 인기 퀴즈쇼 ‘제퍼디’에 출연해 두 명의 인간 챔피언을 물리치고 우승을 거뒀다. 동아시아에서 수천년 역사를 지닌 바둑은 서양의 체스와 견줄 수 없을 만큼 수가 엄청나게 복잡해, 적어도 고수의 영역은 컴퓨터가 범접할 수 없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그러나 이번 대국의 내용만 보면, 어느 쪽이 알파고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컴퓨터의 기량이 뛰어났다.
이제까지 통설은 컴퓨터가 계산과 기억은 뛰어나도 인간의 직관과 통찰력을 따라오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알파고는 뇌를 모델로 한 신경망 구조를 설계에 적용해 사람의 직관을 흉내 낸 것으로 알려졌다. 무작정 모든 경우의 수를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심화 학습’을 통해 승률이 높은 착점을 예측한다. 사람이라면 평생 해도 못 할 분량의 공부를 몇 주 만에 마쳤다. 지난해 유럽 바둑챔피언을 꺾었을 때보다도 진화했다.
문제는 알파고를 낳은 인공지능 기술이 어디까지 갈 것인가이다. 구글은 바둑뿐 아니라 의료 등 다른 분야로 응용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구글의 지주회사 알파벳 회장인 에릭 슈밋은 “이번 승부가 어떻게 나든, 이후 인류는 이 똑똑한 기술의 혜택을 누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공지능의 산업적 혜택은 우리나라 같은 후발 주자가 아닌 소수의 세계 거대기업에 돌아갈 가능성이 크다. 고용 감소 등 사회적 부작용과 문화적 충격 등도 우리가 짊어져야 할 과제다. 물론 알파고의 지능은 바둑 두는 능력일 뿐 새로운 사고 능력을 갖춘 건 아니다. 전문가들은 컴퓨터의 지능이 인간과 비슷해지려면 몇십년은 걸릴 것으로 본다. 어쨌든 이번 대결은 인공지능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하는 새로운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