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지역에 따라 사망률이 크게 차이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김동현 한림대 의대 사회의학교실 교수팀의 ‘우리나라 지역사회 건강 수준의 종합평가’ 보고서를 보면, 2014년 기준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강원도가 인구 10만명당 391명으로, 서울의 314.3명에 견줘 25%나 높다. 지역마다 다른 노인 인구 비율을 보정한 수치다. 즉 똑같은 사람이라도 어느 지역에 사느냐에 따라 죽음의 확률이 높고 낮아진다는 뜻이다. 암·뇌혈관질환·심장질환 등 주요 질환별 연령표준화 사망률도 지역에 따라 상당한 격차를 보였다.
심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국민의 건강과 수명이 격심한 ‘불평등’을 겪고 있으며, 그것도 불가피한 자연적 요인이 아니라 교정 가능한 사회·정책적 요인에 의한 것이라는 뜻이기 때문이다. 김 교수팀은 지역 주민의 건강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일반회계 중 복지예산 비중, 공무원 중 보건소 인력 비율 등 정책적 요인 △인구 1인당 공원 면적, 운동시설 접근율 등 물리환경적 요인 △인구 1천명당 의원 수, 암 검진율 등 보건의료 자원과 서비스 요인 등을 들었다. 흡연·음주·운동 등 개인의 생활습관도 건강에 큰 영향을 끼치지만, 지역별 인적·물적 자원의 불균형과 정책적 특성들이 지역별 격차의 주요 결정요인이라는 것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은 경각심을 가지고 건강·수명 격차 해소에 나서야 한다. 특히 이번 연구 결과는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천편일률적인 정책보다 지역별 맞춤형 정책이 중요하다는 점을 일깨운다. 지역 주민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긍정·부정적 요인들이 지역마다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나아가 지역뿐 아니라 계층에 따른 건강 격차에도 주목해야 한다. 경제적 불평등을 개선하면 모든 계층의 사망률이 낮아진다는 외국 연구 결과도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 국민 건강에 영향을 끼치는 사회구조적 요인들에 대한 더욱 면밀한 연구와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