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총선에서도 어김없이 방송들의 ‘편파 보도’가 도마에 오르고 있다. 지상파 방송뿐 아니라 종합편성채널(종편)까지 가세했다는 점이 4년 전과 달라졌을 뿐이다.
한국방송학회 산하 방송저널리즘연구회 등이 최근 ‘20대 총선보도 중간점검 학술세미나’를 통해 지상파 3사와 종편 4사의 메인 뉴스 7개 프로그램을 분석한 보고서를 보면, 여당 편향이 눈에 띈다. 이들이 지난달 2일부터 22일까지 선거보도의 양과 소재, 취재원, 보도 프레임 등을 전수조사해 분석한 결과, 7개사가 모두 987건의 선거 관련 보도를 내보냈다. 그런데 이들 기사의 보도 프레임을 ‘주장, 방어, 공격, 피격’ 등으로 나눠 분석해보니 여당인 새누리당에 대해선 ‘주장’ 프레임, 야당인 더민주와 국민의당에는 ‘공격’ 프레임으로 보도한 것이 가장 많았다고 한다. 여당이 업적에 대해 자랑하고, 야당이 이에 대해 공격하는 프레임을 주로 선택했다는 것이다. 여당에 치우친 불공정 보도임은 물론이다.
시민단체들이 꾸린 총선보도감시연대의 주간 단위 방송모니터링 보고서를 보면, 종편의 편파성은 더 두드러진다. 최근 공개한 제19차 주간보고서를 보면 <채널에이>의 ‘직언직설’은 3월31일 방송에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에 대해선 16분 가까이 시간을 할애했지만, 김종인 더민주 대표는 2분30초,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7분을 다뤘다. 더민주에 대해 출연자들이 ‘운동권 정당’이란 표현을 습관적으로 사용(<티브이조선> ‘신통방송’ ‘뉴스를 쏘다’)하고 ‘노인 폄하’ 정당으로 매도하는 사례도 등장한다고 지적한다.
종편의 편향보도는 시민단체나 학계만의 주장이 아니다. 방송통신심의위가 관할하는 선거방송심의위의 의결 결과로도 입증된다. 20대 총선을 앞두고 3월까지 심의 안건으로 올랐던 59건 가운데 40건이 종편이었고 이 중 티브이조선과 채널에이가 각각 15건과 10건의 제재를 받았다. 출범 때부터 ‘형광등 100개를 켠듯한 아우라’ 운운하며 편향보도를 일삼더니 여전히 그런 태도를 버리지 않은 채 정권에 아부하고 있는 티브이조선 사례가 대표적이다.
이명박 정부 이래 지상파 방송은 정권에 장악당했고, 신설된 종편은 보수정권에 코드를 맞추며 사세를 확장하고 있다. 반면 공정보도를 위해 싸워온 공영방송의 기자·피디들은 여전히 해직과 징계 등 갖은 고초를 겪고 있다.
방송의 공정성이 무너지면 민주주의가 위협받는다. 편파적인 선거방송을 더는 방치할 수 없다. 공정보도를 위해 싸우고 있는 방송인들에게 격려와 지지를 보내면서 사태의 심각성을 몰각한 채 당략에 매몰된 야당의 각성도 촉구한다. 시민과 유권자들이 편파방송을 감시하고 고발하지 않는다면 공정방송도, 공정선거도, 민주주의도 위기에 몰린다는 점을 다시 확인해야 할 요즘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