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의 정진석 원내대표와 김무성 전 대표, 최경환 의원이 24일 오전 비밀리에 만나, 새 지도부를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로 전환하고 혁신비상대책위원장에 친박과 비박이 합의하는 인사를 앉히는 내용의 당 정상화 방안에 합의했다고 한다. 아직도 새누리당은 정신을 못 차린 모양이다. 김무성·최경환 의원은 지난 총선에서 계파 이익에 골몰하다 여당 사상 최악의 참패를 불러온 사람들이다. 당을 혁신하겠다면서 혁신 대상을 불러 당의 진로를 논의하는 정진석 원내대표나, 부른다고 나가서 콩 놔라 팥 놔라 발언하는 두 사람이나 한심하기 짝이 없다. 이러고도 새누리당이 ‘국민’과 ‘당원’을 입에 올릴 수 있는 건지 알 수가 없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계파 문제를 거론하려고 만난 것이다. 계파 갈등을 해결하려면 대주주 역할을 하는 두 분이 나서야 하는 거 아니냐고 주문했다”고 말했다. 참으로 순진하고 아둔한 생각이다. 계파 때문에 선거에서 패했는데 그 문제를 계파 중진들과 머리를 맞대고 해결한다는 게 가당키나 한 얘기인가. 정중히 요청한다고 계파를 없앨 사람들이라면, 지난 총선을 앞두고 그렇게 그악스럽게 계파 이익을 챙기며 온갖 무리수를 두진 않았을 것이다.
새누리당이 총선에서 국민의 외면을 받은 이유를 한번 되돌아보라. 박근혜 대통령을 무조건 추종하는 친박계가 당을 좌지우지하며 공천에 깊숙이 개입한 게 참패의 직접 원인이다. 여기에 친박을 제어하기는커녕 자기 사람 몇명만 챙기면서 ‘옥새 파동’까지 일으킨 김무성 전 대표의 무책임한 행태가 상황을 악화시켰다. 그렇다면 패배에 책임있는 사람들에게 그 책임을 묻고, ‘친박’이란 퇴행적인 집단을 없애는 것에서 혁신작업은 출발해야 한다.
그런데 오히려 친박계 좌장이라 불리는 최경환 의원과 당 정상화 방안을 협의하고 서로 오해와 억측을 풀었다고 말하니, 국민들 보기엔 정진석 원내대표가 친박 세력의 위세에 백기 투항한 것이나 다름이 없다. 얼마 전 비상대책위원과 혁신위원장 인선 과정에서 친박의 조직적 반발로 큰 곤욕을 치른 정 원내대표는 이제 친박과 타협해서 당을 운영하는 쪽으로 마음을 굳힌 것 같다. 이를 계기로 친박 세력은 여론의 지탄에서 벗어나 당권을 다시 틀어쥐려 시도할 것이다. 도대체 새누리당은 앞으로 얼마나 많은 선거를 져야 정신을 차릴 건지 궁금하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