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당시 선체 수색 작업에 참여했던 민간 잠수사 김관홍(43)씨가 지병과 생활고로 고통받다 세상을 떠났다. 고인은 수색 작업으로 얻은 잠수병으로 잠수를 할 수 없게 되자 낮에는 비닐하우스에서 꽃을 키우고 밤에는 대리운전으로 생계를 꾸려왔다. 평소 주변 사람들에게 “바다만 보면 악몽과 희생자들의 주검이 떠오른다”는 말도 했다고 한다.
그동안 고인이 감내해야 했던 고통과 절망을 생각하면 가슴이 먹먹해진다. 고인을 비롯한 민간 잠수사들의 희생과 헌신을 까맣게 잊고 살아온 우리 자신을 돌아보며 부끄러움에 고개를 들 수 없다. 민간 잠수사들에 대한 이 정부의 외면과 냉대를 생각하면 가슴에 분노가 치민다. 그의 죽음은 ‘의인’을 냉대하는 사회에 대한 슬픈 고발장이자, 국가가 무엇이고 정부가 무엇인가에 대한 통렬한 물음표다.
세월호 참사 당시 선체에 들어간 것은 해경 잠수부가 아니라 고인을 비롯한 민간 잠수사들이었다. 그들은 안타까운 마음에 하루에 한 번 이상 들어가면 안 되는 깊은 바닷물 속으로 네 번, 다섯 번씩 들어갔다. 그 후유증으로 대부분의 민간 잠수사들은 허리디스크, 골괴사 등 신체적 고통에다 정신적 트라우마까지 앓고 있는 상태다.
제대로 된 국가라면 이들의 헌신에 상을 주고 보답해야 옳다. 하지만 이 정부는 전혀 정반대였다. 세월호 실종자 수색 중 민간 잠수사 한 명이 숨지자 당시 현장에서 맏형 노릇을 하던 민간 잠수사에게 죄를 덮어씌워 과실치사 혐의로 기소하고 징역형을 구형한 것이 이 정부다. 다행히 1심 법원이 무죄를 선고하긴 했으나 이 정부의 몰염치는 두고두고 잊히지 않을 것이다. 고인은 지난해 9월 국회 국민안전처 국정감사에 참고인으로 나와 “두 번 다시 어떤 재난에도 국민을 부르지 말라”고 질타했다. 고인의 가슴속에는 비상식적이고 파렴치한 정부에 대한 한이 차곡차곡 쌓였을 것이고, 그런 분노와 배신감도 죽음에 이른 한 원인이 됐을 것이다.
타인의 아픔과 고통을 나누려고 노력하는 것이 올바른 사회다. 하물며 의로운 일에 스스로 몸을 던진 사람들을 외면하고 냉대하는 사회나 국가는 존립해야 할 이유가 없다. 정부는 늦었지만 한시바삐 병고와 생활고에 시달리는 민간 잠수사들의 실태를 파악해 지원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그래야 고인이 저세상에서라도 편안히 눈을 감을 수 있을 것이다. 고인의 명복을 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