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철곤 오리온그룹 회장이 지난 2011년 횡령 혐의로 영장실질심사를 받고 서울중앙지법을 나서고 있다. 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4년 전 회삿돈 수백억원을 빼돌린 혐의로 징역 3년에 집행유예 5년을 선고받은 담철곤 오리온그룹 회장이 또다시 불법·비리 의혹에 휩싸였다. 특히 당시 자신의 죄를 감추려고 위증을 교사했다는 주장까지 나와 파문이 일고 있다.
심용섭 전 사장 등 오리온그룹 전직 임원 3명은 최근 청와대와 법무부에 ‘담철곤 회장의 사면 결사반대’라는 진정서를 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달 광복절 특별사면 방침을 밝힌 이후 담 회장도 대상자로 거론되고 있다.
이들은 진정서에서 “담 회장과 부인 이화경 부회장의 비자금 조성에 직간접적으로 이용만 당했다가 담 회장의 횡령·배임 사건 수사와 재판에서 진실을 말했다는 이유로 강제 퇴직당한 임원들”이라고 자신들을 소개했다. 담 회장은 2011년 회삿돈 300억원을 빼돌려 고가의 외국 그림과 수입차 등을 사들인 사실이 드러나 구속됐고 1심에서 징역 3년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다음해 2심에서 집행유예로 풀려났고, 당시 ‘재벌 봐주기 판결’이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이들은 진정서에서 “담 회장이 회사 자산을 매각하면서 개인적으로 뒷돈을 챙기는 등 노출되지 않은 범죄 행위가 아직도 많이 있다”며 담 회장을 횡령·배임·탈세 등 비리와 위증교사 혐의로 이달 중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담 회장의 핵심 측근이었던 조경민 전 사장은 지난달 담 회장 부부를 상대로 “오리온 주식 가치 상승분 중 10%를 받기로 약속이 돼 있다”며 200억원을 내놓으라는 소송을 냈다. 그는 소장에서 2011년 담 회장의 지시에 따라 위증을 하고 죄를 뒤집어썼는데 ‘토사구팽’ 됐다며 이제 진실을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오리온그룹은 “개인적으로 앙심을 품고 황당한 주장을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어느 쪽의 주장이 맞는지는 앞으로 소송을 통해 가려질 것으로 보인다.
불법과 비리로 처벌을 받은 재벌 총수들이 진심으로 반성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는커녕 같은 잘못을 반복해 저지른 사례가 부지기수다. 재벌 총수의 범죄에 솜방망이 처벌을 하고 이마저도 얼마 지나지 않아 사면·복권을 통해 면죄부를 준 탓이 크다. 이번 8·15 특사에서 이런 잘못된 관행이 되풀이돼서는 안 된다. 재계도 ‘기업인 사면’ 건의에 앞서 재벌들이 왜 국민에게 불신과 지탄을 받고 있는지 자성부터 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