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교통공사가 지하철 2호선의 탈선 사고를 모의훈련으로 조작한 사실이 두달 만에 들통났다. 지난 8월7일 운연역 차량기지 선로에서 전동차가 탈선하는 사고가 벌어졌는데도 “불시 모의훈련”이라며 거짓 브리핑을 하고, 국토교통부와 인천시에 허위 ‘훈련결과 보고서’까지 냈다는 것이다. 은폐도 모자라 조작까지 서슴지 않았으니 최소한의 도덕성도 찾을 수 없다. 대체 어디서 듣고 배웠길래 이렇게나 얼토당토않은 짓을 태연히 저질렀는지 의아할 따름이다.
인천교통공사 쪽은 “시민 불안이 증폭될 것 같아 훈련으로 가장했다”며 사과했지만, 그런 변명으로 끝낼 일은 이미 아니다. 승객이 내린 뒤였기에 망정이지 자칫하면 전동차가 전복되거나 작업자들이 다칠 수도 있었던 사고였다. 그런데도 담당 간부들은 뻔한 거짓말로 사고를 감추려 했고, 사고 장면을 담은 감시카메라(CCTV) 영상이 공개된 뒤에도 한동안 엉뚱한 해명과 발뺌을 계속했다. 적당히 얼버무리고 뭉개면 책임을 모면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에 그랬을 것이다. 그런 억지가 통하리라고 믿게 만든 일은 중앙정부와 정치권에서 지금도 숱하게 벌어지고 있다.
축소·은폐가 이번만도 아닐 터이다. 인천지하철 2호선은 7월30일 개통된 뒤 1주일 만에 9건의 장애가 발생하고 여러 차례 운행이 중단됐다. 이번 사고 직후인 8월10일 승강장에 유모차 바퀴가 끼는 사고가 일어났을 때도 공사 발표와 달리 유모차만이 아니라 아이의 발이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 틈에 빠지는 사고가 있었다고 한다. 출입문이 닫히지 않은 채 전동차가 출발하는 사고가 있었는데도 발표조차 없었다는 의혹도 있다. 사고가 나면 원인을 찾아 대책을 세우는 게 당연한데도 시민 안전보다 은폐와 축소에 급급했던 듯하다. 국토교통부나 노동부가 이런 은폐·축소를 방치하진 않았는지도 의심스럽다.
인천지하철 2호선은 개통 전부터 사고 위험을 안고 있었다. 국내의 다른 무인 지하철에 견줘도 수송인원과 운행거리 대비 근무인력이 턱없이 부족해 사고 대처 능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많았다. 애초 계획보다 차량이 줄면서 주행속도가 높아지고 정차시간이 짧아져 사고 발생 가능성은 커졌다. 이번 일을 계기로 엄정하고 투명한 안전관리 체계를 마련하는 한편, 인력과 차량 편성 등 시스템 전반도 점검해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