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국자와 미국의 북한 전문가들이 21~22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핵 문제 등을 놓고 대화를 해 주목된다. 버락 오바마 미국 정부의 남은 임기 동안 당국 차원의 북-미 접촉이 시작되기는 어렵지만, 내년 초 미국 정부 교체 이후 대화 분위기 조성에는 도움이 될 듯하다.
이번 만남은 ‘탐색적 대화’의 성격을 갖는다. 미국 쪽이 “일부 진전이 있었다”고 한 것을 보면, 북쪽이 비핵화 협상을 거부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물론 양쪽 입장 차이는 크다. 미국 쪽 참가자인 리언 시걸 사회과학원 동북아안보협력 프로젝트 국장은 ‘북한은 평화조약을, 미국은 핵무기 중단을 우선하는 게 기본 입장’이라고 했다. 그는 또 ‘정부 사이 대화까지 가는 방법이 있을 것 같지만 두고 봐야 안다’고 했다.
북쪽은 한성렬 외무성 부상과 장일훈 유엔주재 차석대사 등 당국 사이 대화가 이뤄질 경우 담당자가 될 수 있는 사람을 내보냈다. 나름대로 의지를 보인 셈이다. 북쪽이 “현안을 다 얘기했다”고 한 것도 대화를 이어가고 싶은 뜻을 보여준다. 북쪽이 진정으로 대화를 원한다면 비핵화 의지를 좀 더 분명히 하기 바란다.
정부가 이번 대화를 두고 ‘미국 정부와는 상관없는 것’이라며 신경질적 반응을 보이는 것은 부적절하다. 정부는 대북 제재·압박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우려하지만 제재·압박만으로는 핵 문제를 풀 수 없다. 모든 대화를 거부하다가는 실제로 협상이 시작될 경우 우리만 소외될 수도 있다.
북한이 5차 핵실험을 한 지 45일이 지난 지금까지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안이 채택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는 제재 수위와 핵 해법을 둘러싼 이견이 작용하고 있다. 정부는 제재·압박 강화 일변도에서 벗어나 북한을 대화로 끌어들일 방안을 찾아야 한다. 우리에게 가장 나쁜 결과는 효과적인 제재 결의안을 이끌어내지 못하면서 대화에서도 뒷전으로 밀리는 것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