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지(LG)그룹이 ‘전경련 해체’의 물꼬를 텄다. 지난 6일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국회 청문회에서 전경련 탈퇴 의사를 밝힌 그룹들 가운데 엘지가 처음으로 27일 전경련에 탈퇴를 공식 통보했다. 엘지는 새해부터 회비를 내지 않고 전경련 활동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케이티(KT)도 이달 10일 전경련에 탈퇴 의사를 전달했고, 기업은행·산업은행·수출입은행 등도 탈퇴 절차를 밟고 있다.
엘지의 전경련 탈퇴는 다른 기업들에 끼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구본무 회장이 청문회에서 해체보다는 미국 헤리티지재단 같은 보수 싱크탱크로의 개편 방안에 무게를 뒀다는 점에서, 4대 그룹 중 엘지가 첫 테이프를 끊은 것은 주목된다. 전경련이 또다시 정경유착의 창구라는 사실이 드러났는데도 누구 하나 책임지기는커녕 공식 사과 한마디 없는 모습에서 쇄신에 대한 기대를 접은 것으로 보인다.
전경련은 지난 11월 초 정경유착에 대한 비판 여론이 들끓자 내년 2월까지 쇄신안을 마련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주요 그룹 총수들이 불참하면서 11월10일 회장단 회의가 급히 취소됐고, 이달 15일 쇄신안 관련 의견 수렴을 위해 열린 30대 그룹 사장급 간담회도 참석률이 저조했다. 미르·케이스포츠재단 자금 갹출의 거간꾼 노릇을 한 이승철 상근부회장이 쇄신 작업을 주도하고 있으니 제대로 될 리가 없다. 쇄신의 대상이 쇄신하겠다는 것 자체가 언어도단이다.
거듭 강조하지만 전경련은 쇄신이 아니라 해체하는 게 맞고, 그 시기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전경련이 지난 반세기 보여온 행태를 돌아볼 때 시간이 흐르고 여론의 관심이 시들해지면 딴소리가 나올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재용 부회장과 최태원 회장이 청문회에서 탈퇴 의사를 밝힌 삼성과 에스케이(SK)그룹도 시간을 끌 이유가 전혀 없다. 전경련은 회원사들의 회비가 주된 수입원이다. 4대 그룹이 400억원대에 이르는 연간 회비의 절반 이상을 부담한다. 이들이 탈퇴하면 다른 회원사들의 ‘탈퇴 도미노’가 일어나고 전경련은 와해될 수밖에 없다. 전경련회관 등 남는 자산은 각계의 신망받는 인사들의 의견을 두루 모아 용처를 결정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다. 그간의 잘못에 대해 속죄하는 의미에서 사회에 환원하는 것도 한 방안이다.
[관련 영상] 한겨레TV | 더 정치
지난 6일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청문회에서 주요 그룹 총수들이 증인 선서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