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사설

[한겨레 사설] 국정농단 ‘보도 참사’로 좌초 위기 몰린 공영방송

등록 2016-12-30 16:42

<한국방송>(KBS)과 <문화방송>(MBC) 내부의 ‘방송 정상화’ 목소리가 쇳물처럼 뜨겁다. 한국방송 15년차 이상 중견 기자 104명과 중견 피디 251명은 최근 “케이비에스는 침몰 직전의 난파선”이라고 탄식하는 성명을 내고 한목소리로 ‘고대영 사장’ 퇴진을 촉구했다. 문화방송 기자들도 “시청자가 엠비시를 버렸다”고 개탄하면서 보도 책임자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

한국방송과 문화방송은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서 참담할 정도로 무기력하고 퇴행적인 모습을 보였다. 다른 신문과 방송들의 의욕적인 탐사보도로 비선 실세의 국정개입 실태를 드러낸 뒤에도 두 방송사는 이 사안을 강 건너 불구경하듯 외면하기만 했다. ‘보도 참사’라고 해도 할 말이 없을 정도였다. 특히 문화방송은 ‘최순실 태블릿피시가 최순실 것이 아니다’라는 주장을 집중 보도해 ‘국정농단 책임자를 변호하느냐’는 지탄을 받고 있다. 박근혜 정권 방패막이 같은 이런 보도를 시청자가 용납할 리가 없다. 지난 16일 한국갤럽 조사에서 응답자의 45%가 <제이티비시>를 가장 즐겨 보는 방송사 뉴스로 꼽은 데 반해 한국방송을 꼽은 사람은 18%에 그쳤다. 문화방송은 5%밖에 되지 않았다. 심지어 문화방송 뉴스데스크는 시청률이 3% 아래로 떨어지기도 했다. 시청자들이 양대 방송을 ‘박근혜 방송’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그런데도 책임지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찾아볼 수 없다. 뻔뻔하기로는 국정농단 핵심들에 뒤지지 않는다.

국민은 박근혜 정권이 남긴 방송 적폐를 청산하고 공영방송이 공영방송답게 재탄생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먼저 양대 방송의 사장과 보도 책임자들이 공영방송의 직무유기 책임을 지고 당장 물러나야 한다. 정치권이 할 일은 지금 국회에 계류 중인 공영방송 지배구조개선 법안을 하루빨리 통과시키는 것이다. 정부와 여당이 방송을 마음대로 주무를 수 있도록 허용한 현재의 방송 관련 법을 그대로 두고는 공영방송의 정상화는 머나먼 일이다. 마침 새해 1월 임시국회가 열린다고 하니 이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 방송 개혁을 위한 국회의 분발을 촉구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1.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2.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3.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4.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5.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