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파면으로 60일 안에 대통령을 새로 뽑아야 하는 조기 대선의 막이 올랐다. 전례 없는 조기 대선을 위한 실무 준비보다 더 중요한 것은, 비록 짧은 기간이지만 19대 대통령 선거의 시대정신을 선거 과정에서 온전하게 드러내는 일이다. 이번 대선은 우리 사회 발전의 분명한 이정표가 되어야 한다.
대선의 시대정신을 놓고선 다양한 주장과 견해가 격돌할 것이지만, 그 밑바닥을 관통하는 흐름은 ‘촛불집회로 표출된 시민의 개혁 열망’을 담아내는 것이다. 어떤 정치세력이든 이 거대한 흐름을 구체화해서 제시하지 못한다면 유권자 지지를 얻기는 매우 어렵다. 선거는 기본적으로 국민의 바람을 현실화하는 과정이다.
폭주하는 권력에 맞서 평화적으로 ‘조기 선거’라는 절차를 만들어낸 건 누가 뭐래도 ‘촛불’과 이를 지지한 국민의 힘이다. 그렇다면 촛불이 지키고자 했던 가치와 광장에서 울려 퍼진 시민의 목소리를 선거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촛불에 담긴 염원을 선거를 통해 정책화하고, 정당과 후보의 개혁 의지를 담금질하는 풀무로 바꿔내야 한다. 그래야 불의한 대통령의 탄핵이 우리 사회의 실질적인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탄핵 직후인 지난 주말, 광장에 나온 시민들의 얘기에 정치권은 귀를 기울이길 바란다. 정경유착 근절과 국민 생명·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정부, 제왕적 대통령의 종언 등 시민들의 구호가 바로 지금 대한민국이 나가야 할 방향이다. 그것이 이번 대선을 관통하는 시대정신이고, 새로 출범하는 정부의 핵심 과제일 것이다.
야권은 물론 구여권의 정당과 후보들도 이런 시대의 흐름을 깨닫고 선거에 나서야 한다. 탄핵당한 대통령에게 자신의 운명을 맡기면서 재기를 꾀하려 하다가는 정치적 미래를 기약하기 힘들 것이다. 보수 이념을 밑바닥부터 재구성하고, 촛불에 담긴 개혁 열망을 적극 수렴하는 자세를 보이길 기대한다.
이번 선거 기간에 촛불이 염원하는 우리 사회의 개혁이 모두 실현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적어도 변화의 큰 걸음이 시작됐음을 확인하는 시간은 되어야 한다. 그래야 조기 대선의 의미가 살아난다. 이번 대선은 대통령 한 사람을 뽑는 선거가 아니라, 대한민국을 총체적으로 바꾸는 변혁의 출발점이어야 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