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박근혜 정부 9년간 남북관계는 금강산관광 중단, 개성공단 폐쇄, 그리고 북한의 잇단 핵실험 등 최악으로 치달았다. 이 시기 미국도 ‘전략적 인내’를 표방하며 적극 개입하지 않았다. 새 정부는 출범하자마자 이런 흐름을 되돌려야 하는 무거운 과제를 안고 있다. 한반도 문제는 미국·중국 등 주변국과의 관계 속에서 우리가 중심추 역할을 해나가야 하는 정교한 해법을 필요로 한다. 또 어떤 경우에도 평화적 해결에 최우선을 둬야 한다. 따라서 새 대통령은 북한을 ‘대화’로 끌어내기 위해 대북특사 파견 등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방식을 고민하는 게 절실하다.
이런 관점에서 주요 후보의 공약을 살펴보면, 문재인 더불어민주당·심상정 정의당 후보가 대화와 협상을, 홍준표 자유한국당·유승민 바른정당 후보가 제재와 압박을 강조하는 것으로 크게 나뉜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중간에 위치한 것으로 평가된다. 문재인 후보는 양자·다자 회담을 적극 활용하는 한편, 북핵 폐기에 따라 한반도 평화협정도 체결하겠다고 밝혔다. 목표와 내용은 나무랄 데 없으나, 첫걸음을 어떻게 떼느냐가 불분명하다. 심상정 후보는 6자회담과 4자회담 병행, 한반도 평화선언을 위한 4국 정상회담 등 ‘대화’를 좀더 강조하고 있다. 개성공단·금강산관광 재개에서도 문 후보가 다소 신중한 데 비해 심 후보는 분명하게 ‘재개’를 약속했다.
안철수 후보는 6자회담 재개, 평화협정 체결 위한 4자 평화회담 추진 등 외형만 보면 문·심 후보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제재 지속을 강한 어조로 못박은 점에서 문·심 후보와 차별성을 드러냈다. 또 ‘비핵화와 평화’를 전제로 문화·학술·종교·체육 교류와 인도적 지원을 재개하겠다고 했는데, 인도적 지원에 정치적 조건을 단 것은 이명박 정부의 ‘비핵·개방·3000’, 박근혜 정부의 ‘선 핵폐기론’과 비슷하다. 홍준표·유승민 후보는 전술핵무기 재배치 공약을 내걸었다. 바람직하지 않고, 현실성도 없다. 비핵화 명분을 스스로 잃을 뿐 아니라 대중국 관계가 돌이킬 수 없는 상황에 빠질 수 있다. 특히 핵 배치 결정권을 가진 미국의 의사가 전혀 반영되지 않았고, 시대착오적 해법으로 국제사회의 빈축만 살 가능성이 높다.
4일(현지시각) 미국 하원이 대북 차단 및 제재 현대화법을 압도적으로 통과시켰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새 대북정책 기조인 ‘최대의 압박과 관여’도 궁극적 목적이 ‘대화’에 있음은 분명하다. 이러한 시기에 한국이 군사적 해결을 강조한다면 한반도 문제에서 주도적 역할은 고사하고 오히려 걸림돌로 치부될 수 있다. 새 대통령은 변화하는 국제관계 흐름 속에서 우리 민족의 평화와 안전을 최우선에 두고, 남북간 대화 재개의 구체적 방법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