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강원도 강릉 등에서 산불이 일어나 200㏊ 가까운 산림을 태우고 불길이 잡혔으나 삼척에선 잔불이 살아나는 등 진화에 애를 먹고 있다. 불길을 피하다 1명이 숨지고 한때 500여명에 이르는 이재민이 발생하는 등 적잖은 피해가 난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건조특보가 내려진 상황에다 강풍이 불긴 했으나 이번에도 역시 초동대응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재난문자는 발송되지 않았고, 소방헬기를 초기에 집중 투입하는 데 제도적 애로사항도 있다고 한다. 세월호 참사를 겪고도 여전히 대형 재난이 일어날 때마다 정부와 관련 당국은 비슷한 잘못을 되풀이하고 있으니 어처구니가 없다.
지난 6일 오후 3시27분께 강원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야산에서 시작된 불이 건조한 날씨와 초속 20m 안팎의 강한 바람을 타고 순식간에 번져 민가 30채와 산림 30여㏊를 태웠다. 삼척시와 경북 상주시에서도 같은 날 산불이 났다.
강릉 산불이 민가를 덮치고 도로까지 번지는 상황에서도 주민들은 아무런 재난문자를 받지 못했다고 한다. 국민안전처는 “강릉시나 강원도에서 재난문자를 요청하지 않았다”고 밝혔고, 강원도는 “대형 산불 기준이 100㏊여서 문자 요청하기가 애매했다”고 해명했다고 한다. 그러나 불로 강릉 시내까지 연기와 재가 날아들고 도로까지 번져 교통통제가 이뤄지는 상황에서 주민이나 운전자들은 아무 정보도 받지 못했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다. 3곳 모두 실화 가능성이 크다니 발생에서 진화에 이르기까지 자연재해보다 ‘인재’에 가깝다.
산불의 특성상 헬기를 활용한 초기 진화가 매우 중요한데도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니 답답한 노릇이다. 화재 진압용 헬기는 모두 137대이지만 주무부처인 산림청이 실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45대뿐이다. 나머지는 지방정부 60대, 군 24대 등인데 초기에 집중 투입하려면 일일이 각 기관장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실정이라고 한다. 이번에도 군 헬기 11대를 지원받았다고는 하나 신속하게 초동진화할 수 있으려면 동원체계를 정비해야 한다.
마침 대선 기간이어서 각 당의 후보들이 현장에 달려가 이재민을 위로하고 대책을 약속했다. 다음 정부는 비슷한 인재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종합적인 대책을 내놓기 바란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