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뽑힌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국민의당 김동철 원내대표에게 쏠리는 기대와 관심이 크다. 두 당이 국회에서 어떤 관계를 맺느냐에 따라서 각종 개혁 입법과 정책 과제의 향방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뿌리가 같고 정책이 비슷한 두 당은 대선 때 치열하게 대결하는 과정에서 앙금이 쌓인 상태다.
집권당 원내사령탑을 맡은 우원식 원내대표의 책임이 훨씬 막중하다. 여소야대 지형에서 색깔이 다른 야4당과 협력적 관계를 만들어내야 하는 쉽지 않은 과제를 떠맡았다. 국회에서 수많은 난제를 생산적으로 풀어갈 수 있는 대화와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데 최우선 순위를 두고 온 힘을 쏟아야 한다. 설득과 타협, 포용의 리더십을 발휘해야 함은 물론이다.
그중에서도 국민의당과의 관계 복원은 첫손가락에 꼽히는 시급한 과제다. 120석의 민주당과 40석의 국민의당이 뜻을 모으면 과반을 웃돈다. 촛불 민심이 바라는 개혁 과제를 추진할 수 있는 기본 동력을 확보하게 된다. 당내 민생기구인 ‘을지로위원회’를 이끌며 개혁성을 드러내온 우 원내대표는 계파성이 엷고 합리적인 인물이어서 기대를 불러일으킨다.
김동철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야당의 선명성을 강조하며 민주당 주류에 반감을 표시해왔다. 민주당과 국민의당의 관계 복원이 그리 순탄하지 않을 것임을 예고한다. 그렇지만 김 원내대표는 당 차원의 연정에 대해선 여지를 남기며 민주당과의 협력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이미 민주당이 단독내각 구상을 밝혀 연정은 어려워졌지만 정책별 연대나 공조는 얼마든지 가능한 상황이다.
더구나 두 당 사이엔 공통된 대선 공약이 적지 않다. 시급한 과제로 꼽히는 검찰개혁 방안만 봐도 공수처(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설립에 두 당의 이견이 없다. 두 당이 공통공약 목록을 만들고 이를 실현할 방안과 절차를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방안도 한번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여당으로 바뀐 민주당과 야당으로 남은 국민의당에 무조건 같은 목소리를 내라고 하긴 어렵다. 하지만 ‘촛불의 염원’을 외면해선 안 된다는 점을 두 당 모두 바탕에 깔아야 한다. 반목과 갈등의 와중에 개혁입법이 물거품으로 돌아갈 수도 있다는 우려를 두 원내대표가 늘 마음에 새겨야 할 것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