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가 31일 본회의를 열어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을 통과시켰다. 새 정부가 출범한 지 21일 만에 국회가 총리 인준 절차를 마침으로써 정부 구성 작업이 비로소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이날 표결에는 자유한국당 의원들이 이 총리 인준에 반대해 불참했고, 나머지 4당 의원들만 참여했다. 협치의 첫 시험대인 총리 인준이 비록 제1야당이 불참했지만 다른 야당의 참여로 표결처리 됨으로써 절반의 성공을 거둔 셈이다.
이 총리에 대한 국회 인준 절차는 앞으로 새 정부와 국회의 협치가 순탄치만은 않을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총리와 몇몇 국무위원 후보자를 발표했지만 위장전입 문제 등으로 인선 기준 자체에 대한 논란이 불거졌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와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에 대해서는 이런저런 의혹을 들어 야당들이 호락호락 넘어가지 않을 태세다. 이런 때일수록 정부·여당은 야당과의 소통을 강화해 합리적인 선에서 인사청문 절차가 마무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또 애초 인선 과정에서부터 일관된 기준과 엄격한 도덕적 잣대를 적용해 논란의 소지를 줄여야 한다.
총리 인준 과정에서 보여준 자유한국당의 발목잡기 행태는 비난받아 마땅하다. 이 총리에게는 위장전입 등 몇몇 논란이 있었지만 국민 여론은 총리 업무를 수행하지 못할 정도는 아니라는 것이었다. 또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나서 야당과 국민에게 양해를 구하는 ‘성의’도 보였다. 그런데도 자유한국당은 “자료도 제출이 안 되고 해명되지 않은 의혹이 남아 있다”는 애매한 이유를 내세워 표결을 거부하고 퇴장했다. 어떻게든 새 정부의 순조로운 출발을 거들지 않겠다는 비뚤어진 심리에서 비롯된 행태라고 볼 수밖에 없다. 바른정당이 표결에는 참여해 반대표를 던진 것과도 대조된다. 자유한국당은 지금처럼 명분 없는 ‘반대를 위한 반대’를 계속할 경우 더욱 어려움에 처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국회 표결 직후 45대 총리에 취임한 이 총리에게는 산적한 과제가 놓여 있다. 무엇보다 새 정부 구성 작업이 순조롭게 이뤄질 수 있도록 책임과 권한을 다해야 한다. 문 대통령을 도와 국정이 원활히 돌아가도록 국정 전반을 잘 추슬러야 한다. 개혁과 통합의 선순환이 이뤄질 수 있도록 경륜과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 막힌 곳은 뚫고 끊긴 곳은 잇는 화합형 총리, 통합형 총리로 자리매김하길 바란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