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정당이 26일 전당대회 격인 당원대표자회의를 열어 이혜훈 의원을 새 대표로 선출했다. 이혜훈 대표는 권역별 당원 투표와 일반국민 대상 여론조사를 합산한 결과 36.9%를 득표해 33.1%를 얻은 하태경 의원을 근소한 차로 누르고 당선됐다. 이 대표의 당선으로 ‘개혁적 보수’의 기치를 내걸고 자강 노선을 걸어온 바른정당 행보에 더욱 힘이 실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혜훈 대표는 수락 연설에서 “매머드급 보수의 대수혈에 앞장서겠다”며 “바른정당이 보수의 본진이 돼 새 역사를 열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사사건건 반대하는 발목잡는 정치를 하지 않겠다”며 “협력할 일은 과감히 협력하고 침묵할 수 없는 문제는 결연히 맞서겠다”고 말했다. 새 인재를 수혈해 강한 야당으로 거듭남으로써 보수 적통 경쟁에서 승리하겠다는 취지로 읽힌다.
의석 20석인 제3야당의 행보에 관심이 가는 것은 바른정당의 ‘개혁적 보수’ 실험이 한국 정치의 미래와 밀접히 연관돼 있기 때문이다.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대선 이후에도 퇴행적 행태를 계속하면서 보수 정치의 토대를 갉아먹고 있다. 문재인 정부에 대해 시작부터 막무가내식 거부와 반대로 일관하고 있다. 자유한국당 대표 경선에 출마한 홍준표 후보는 대선 때와 같은 ‘막말 정치’로 정치판을 흐리고 있다. 이런 식이라면 과연 자유한국당에 미래가 있을지 회의적으로 보는 사람이 많다.
이혜훈 체제의 바른정당은 자유한국당과 차별화를 하면서도, 정부를 견제하고 비판해서 야당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해야 하는 이중의 과제를 안고 있다. 이 대표 말대로 새 정부에 협조할 건 협조하고 반대할 건 반대하면서 굳건히 나아가야 한다. 내부 결속을 다지며 국민만 보고 원칙대로 가면 된다. 후진적 보수 정치가 득세해온 한국 정치의 토양에서 개혁적 보수 실험은 전인미답의 길이다. 힘들지만 가야 할 길이다.
지난주 갤럽 여론조사에서 자유한국당은 9%, 바른정당은 7%의 지지도를 보였다. 대구·경북 지역에서 자유한국당 24%, 바른정당 8%로 격차가 있지만 수도권에선 바른정당 10%, 자유한국당 6%로 바른정당이 오히려 앞선 점이 주목된다. 비록 제3야당으로 운신의 폭이 좁지만, 바른정당이 국민 마음을 얻는다면 충분히 보수의 새 길을 개척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